
캐나다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마찰로 인한 제조업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과 일부 핵심 산업에 대한 관세 감면 조치를 발표했다. 이는 미국의 관세 강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국내 제조 기반을 지키기 위한 정책적 대응으로 풀이된다.
4월 15일 캐나다 재무부는 새로운 지원 정책을 발표하며, 국내에서 생산을 유지하고 투자 약속을 이행하는 조건으로, 자격을 갖춘 자동차 제조업체에 대해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부합하는 미국산 조립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관세 면제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자동차 산업 전반의 부담을 덜고, 캐나다 내 투자를 유지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식음료 포장, 공공 보건, 국가 안보 등 다양한 핵심 산업 분야에 대해 향후 6개월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감면을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제조, 가공, 의료 등 주요 부문의 비용 부담을 덜고 산업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조치로 보인다.
캐나다 정부는 동시에 새로운 “대기업 관세 대출 메커니즘”도 가동하여, 식량·에너지·경제·국가 안보 관련 요건을 충족하는 국내 대기업에 재정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
한편, 최근 일본 자동차 대기업 혼다가 캐나다 및 멕시코에서 일부 자동차 생산을 미국으로 이전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며 산업계의 관심이 집중됐다. 이에 대해 혼다 캐나다 법인은 공식 성명을 통해 “온타리오주 앨리스턴 공장은 최대 가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로서는 생산 변화 계획이 없다”고 밝혀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혼다 일본 본사는 4월 16일 도쿄에서 별도의 성명을 통해, 자사의 5도어 시빅 하이브리드 모델을 일본이 아닌 미국 인디애나주 공장에서 생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도쿄 인근 소라마치 공장은 오는 6~7월경 가동이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멕시코 정부는 국경 세금 및 수입 규제 조치를 강화하며 미국과의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 텍사스에서 멕시코로의 연료 운송이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멕시코 정부가 국경 화물 검사를 강화하면서 2주간 육로 통관이 사실상 마비된 데 따른 것이다. 트럭을 통한 휘발유 및 디젤유 수송이 차단되면서 공급망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한 연료 딜러는 “국경 검사 강화로 인해 고객 수요가 급감했으며, 국경을 향한 연료 운송 사업이 하룻밤 사이에 중단됐다”고 전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자료에 따르면, 멕시코는 미국 정제 연료의 최대 수입국으로, 올해 1월 기준 하루 평균 휘발유 47만 배럴, 디젤유 23만 7천 배럴을 수입한 바 있다.
대부분의 멕시코 연료 수입은 해상 운송에 의존하고 있지만, 이번 육로 수입 차단은 멕시코 정부가 더욱 강도 높은 무역 대응에 나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