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이마트에 매각 후 잔여 지분

미국 이커머스 플랫폼 이베이가 보유 중이던 G마켓 지분 20% 매각을 추진한다.
3년 전인 2021년 신세계가 G마켓 지분 80%를 약 3조 5,600억원에 인수한 뒤 남은 지분이다.
지난 12월 23일 이베이(E-Bay)는 G마켓 지분 19.99%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이베이는 지난 2009년 G마켓을 약 1조 6,000억원에 인수한 뒤 2021년 11월 이마트(139480)에 G마켓(당시 이베이코리아) 지분 80.1%를 3조 5,590억 원에 매각하는 데 성공했다.
당시 이마트의 G마켓 인수 딜은 국내 유통 인수합병(M&A) 역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이베이가 매각을 원하는 소수지분엔 우선매수권이 설정돼있다.
이베이가 제3자에게 지분 매각을 추진할 경우 이마트가 우선매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구조다.
2021년 매각 당시 계약에 콜옵션과 우선매수권이 포함됐으나 콜옵션은 기한이 만료된 상태다.
핵심은 3년 전과 비교해 이커머스 시장 구조가 크게 달라졌다는 점이다.
당시 G마켓 딜을 이끌었던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G마켓을 인수해 SSG닷컴의 사세를 확장하고자 했지만, 정작 인수 이후 SSG닷컴과 G마켓 모두 적자 폭이 늘었다.
현재 이커머스 시장은 쿠팡과 네이버의 2강 체제로 좁혀진 상황이다.
경쟁사인 11번가, 티몬・위메프 등도 새 주인을 찾고 있지만 뚜렷한 원매자가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소수 지분은 경영권 프리미엄이 없는 만큼 매각 난이도가 더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마트가 우선매수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지분 인수에 필요한 자금 여력이 크지 않다.
지분 인수를 위해 재무적 투자자(FI)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겠으나, SSG닷컴 역시 기업공개(IPO)와 관련해 FI와 갈등을 겪어온 만큼 이 역시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 트럼프 피격으로 더 뭉치는 지지자, 대선 결집력 상승세
- 인도의 '무역 장벽', WTO에서 다방면으로 의심을 받아
- [월드e] 에어아시아 필리핀, 2023년 700만 명의 승객 기록... 탑승률 91%
- [기고] [대만총선 분석-1] "8년주기 저주"를 깬 대만선거: 9전9승의 "운짱(運將)"라이칭더!
- 제주도로 통하는 '중국 하늘길' 대폭 확충 추세
- 빈그룹 인공 지능(AI) 분야 자회사 해체
- 유럽 조사, 유럽인 절반 중국을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여겨
- 온두라스 대만과 단교, 중국과 수교
- 치앙마이 산불 일주일째... 스모그 악화로 "세계 최악의 대기질"
- 中 신형 기술관료 중용... 우주항공·방산 분야 강화
- [중국망] 중국, 펠로시 의장 대만 방문에 대만에 대한 군사적, 경제적 압박 강화
- [기고] 중국의 대만 공격 가능성 진단
- [NFT매거진]평면을 입체로 만들다, 08AM 작가
- 中 떠나는 대만 기업…255개 기업 대만 복귀
- 美 하버드대, '중국어 어학연수 프로그램' 베이징에서 타이베이로 이전
- 리투아니아, 자국 소비자에게 中 휴대전화 사용 중지 권고
- 한국 난&분 전시회, 전북 완주서 10월 개최
- 中 상하이 푸싱의약, 대만에 1천만 도스 BNT 백신 제공
- 대만, 코로나19 사망률 4% 돌파...세계 1위
- 대만, 일본 지원 받은 AZ백신 접종 개시 4일만에 29명 사망
- 이베이, 2024년 3분기 한국 셀러 역직구 매출 분석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