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공급계약 규모 52조 원 돌파

포스코퓨처엠이 LG에너지솔루션과 양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4월 26일 포스코퓨처엠은 2023년부터 2029년까지 7년간 LG에너지솔루션에 32조 2,595억 원 규모의 양극재를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포스코퓨처엠이 공급하는 제품은 전기차 고성능화에 필요한 배터리 핵심소재인 하이니켈 NCM‧NCMA 양극재로, LG에너지솔루션의 국내외 배터리 공장에 공급한다.
양극재는 배터리 원가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용량과 출력을 결정하는 핵심소재로 전기차 배터리에 주로 활용된다.
하이니켈 양극재는 니켈(N) 비중을 극대화해 배터리의 에너지 저장용량을 높이고, 코발트(C)‧망간(M)‧알루미늄(A) 등을 함께 사용해 안정성과 출력을 보완한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이번 공급 계약으로 포스코퓨처엠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공략을 위해 장기간 이어온 LG에너지솔루션과의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하게 됐다.
포스코퓨처엠은 배터리소재 사업에 진출한 2011년 LG에너지솔루션과 제품 개발을 위한 협력을 시작한 이래 2012년부터 양극재와 음극재를 본격 공급하며 긴밀한 파트너십을 이어왔다.
대규모 공급계약이 시작된 건 2020년으로 1조 8,533억원 규모의 양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2022년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사인 얼티엄셀즈로부터도 약 22조원의 양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포스코퓨처엠의 LG에너지솔루션향 수주 규모는 52조원을 넘어서게 됐다.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차 시장의 빠른 성장과 고성능화에 대응해 하이니켈 양극재와 인조흑연‧실리콘 음극재를 중심으로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준비 중이다.
생산지역도 한국은 물론 전기차 주요 시장인 미국, 중국, 유럽 등의 진출을 적극 모색해 양극재 생산능력은 현재 105,000t에서 2030년 61만t으로, 음극재는 82,000t에서 2030년 32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니켈 등의 광권 확보부터 소재 생산, 리사이클링까지 풀 밸류체인을 확보한 포스코그룹과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글로벌 배터리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소재의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하게 됐다.
포스코퓨처엠 김준형 사장은 “포스코퓨처엠의 배터리소재사업 성장은 사업 초기부터 이어온 LG에너지솔루션과의 긴밀한 협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포스코퓨처엠의 원료 경쟁력, 품질 기술, 안정적인 양산능력 등 고객을 위한 사업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미래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포스코그룹 차기 회장, 권영수 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 유력!
- '활기찬 구자라트 글로벌 서밋 2024', 한-구자라트 경제협력포럼 주목
- [기고] 전라북도 새만금, '희망의 불씨'는 살렸다
- [비전 인싸이트] 국가 성장 동력의 '걸림돌', '거대 ·강성 · 귀족 노조'에 대한 "개혁 절실"
- 한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 희망이 된 세계한인비지니스 대회
- 남이섬, ‘출산·육아지원제도’ 및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 우수기업 사례로 선정
- 2023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개최
- 아르헨티나, 제3대 리튬 생산국이 될 전망
- 포춘 발표, 2023년 글로벌 500대 기업에 미국이 최다 재탈환
- 中 기업, 인도네시아 니켈 투자서 선점
- 국민연금·시민단체 VS 동학개미(民心) 누가 더 强할까?
- 인도네시아, 2022년 외국인 직접투자 44.2% 증가
- 포스코플랜텍, 모듈형 수소 충전 시스템 특허 획득
- [재중 한국인 성공스토리] “최근 10년, 중경 거주 한국인 10배 늘었어요" - 양재경 중경한국인(상)회장
- 포항 영일만항, ‘영남권 중고자동차 수출 거점’으로 우뚝
- 인도, 건축 호황... 내년 철강 수요 6.7% 증가
- 잇따른 대기업 투자, ‘국가예산 1.7배인 1,060조 원’
- [Inside] 니혼게이자이, 한국의 징용 노동자 관련 대대적 보도
- 포스코 인터, 인천경제자유구역청등과 스타트업 지원 나서
- [비전ON] 순방 마친 인도네시아 대통령, 119억 달러 규모 투자 약속과 ‘금의환향’
- 한은 기준금리 인하하자, 증권사도 CMA 금리 내려
- 포스코홀딩스, 24년 3분기 실적 발표 ‘매출 18조 3,210억 원, 영업이익 7,430억 원’
- 미국,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코발트 30년 만에 채굴 재개
- 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각형 배터리로 사업 부진 돌파 나서 ‘美 애리조나 설비 장비 선정 완료’
- 전 세계, 순환 경제에 주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