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국가들의 평균 인플레이션율은 2022년 7.8%에서 2023년 6%, 2024년 4.8%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9일 2023년 세계경제 성장 전망은 상향 조정했지만 내년 경제활동 전망은 하향 조정했다고 아르헨티나 미주통신 홈페이지가 19일 보도했다.
OECD는 19일 올해 세계경제 전망치를 종전 2.7%에서 3%로 상향 조정하고 2024년에는 2.7%로 당초 전망치 2.9%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에너지 가격 하락과 중국의 재개방으로 인해 2023년 상반기 세계 경제는 예상보다 강했지만 성장 전망은 약하고 인플레이션은 지속되며 하방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경제성장의 상당 부분이 인도(2023년 6.3% 성장 예상), 중국(5.1%), 인도네시아(4.9%) 등 몇몇 아시아 강대국에서 비롯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미국 경제는 올해 2.2%(6월 전망치 1.6%가 아닌) 성장, 내년 1.3% 성장, 프랑스는 올해 1%, 내년 1.2% 성장, 이탈리아는 올해 0.8%, 스페인은 2.3%와 1.9% 성장, 영국은 각각 0.3%, 0.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독일 경제는 글로벌 교역 둔화와 금리 상승에 힘입어 올해 0.2% 수축하고 2024년에는 0.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OECD 보고서의 초점 중 하나는 인플레이션이다.대부분의 국가에서 인플레이션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지만 "중앙은행의 목표치를 여전히 웃돈다"는 것이다.
G20 국가들의 평균 인플레이션율은 2022년 7.8%에서 2023년 6%, 2024년 4.8%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이 단체는 밝혔다.
마르세유 콜먼 OECD 사무총장은 성명에서 "연초 은행업 불안 이후 금융시장이 더 이상의 압박을 피했다. 그럼에도 글로벌 경제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저성장, 상대적으로 약한 무역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도, 캐나다 외교 분쟁 고조... 비자 서비스 중단
- 싱가포르 공항, 여권 없이 자동 출입국 검사 절차 도입
- 베트남 청년, 업무 효율성 위해 디지털 전환 촉진
- '풍성한 한가위' 넷마블, 11종 게임에서 추석 기념 이벤트 마련
- G20 재무장관, 세계 경제 연착륙 강조... "보호주의 배격 공조" 촉구
- 세계 경제 성장 전망, 무역 긴장과 예산 적자로 불확실성 확대
- IMF, 세계 경제성장률 "올해와 내년 모두 3.2%" 전망
- 동남아 국가 브릭스 급물살
- [비전 인사이트] 한국 부유층의 '엑소더스' 역대 최대, "삶의 질 개선책 강구" 해야
- OPEC, 강력한 석유 수요 전망을 '낙관적으로 유지'
- 올해 전 세계 무역 증가 속도가 두 배가 될 전망
- [비전 인사이트] 한국 경제도 축구도 '뒷걸음질', 모두 정신차려야!
- OECD,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 상향 조정
- 멕시코, 중남미 경제 선두주자로 부상... 미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
- [비전 인사이트] 국가 총 GDP와 1인당 GDP에서 일본은 독일에 추월당해... "문제는 노동생산성이다"
- [비전 인사이트] 한국 경제 체질 약화, '근로 의욕' 떨어지고 '일잘러' 줄어
- [비전 인사이트] 골드만삭스가 예상한 '2050년 세계경제순위'에 대한민국은 없다!
- [기고] '현애살수'적인 자세로 낡은 사고 배제
- 독일 경제, 내년에도 경기 침체 지속 전망
- 경제협력개발기구, "2024년 세계경제 성장률 2.7%"...금년 대비 '둔화' 전망
- 싱가포르, "불황을 잘 피하고 있어"... 무역과 자본의 중심지로서 경제 확장세
- 화석연료, 전 세계 에너지 공급량의 82%를 차지
- 서방 금리 인상 재개 글로벌 성장 위협 초래
- OECD, 올해 스페인 성장률 전망치를 2% 이상 예측
- 국제에너지기구(IAEA), 전 세계 석유 '수급 격차' 커질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