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호주 노동당 출범 이후 양국 관계는 개선 되어
호주의 석탄·면화·구리의 중국 수출이 최근 회복
중국은 호주의 최대 교역 상대국

중국이 최근 2년여 만에 처음으로 호주산 목재 수입에 문을 열어 양국 관계가 복원되고 있다는 또 다른 징후라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는 중국이 수입을 제한하는 호주 제품 목록에 목재가 포함되었다.
석탄, 와인, 보리 등을 포함한 이 목록으로 인해 호주 수출업자는 매년 수백억 호주 달러를 잃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지난해 호주 노동당 출범 이후 양국 관계는 개선됐다. 호주의 석탄·면화·구리의 중국 수출이 최근 회복됐다.
샤오첸 호주 주재 중국대사는 18일 목재 수입이 재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돌파구는 얼마 전 호주 통상장관의 베이징 방문 이후 나타났으며, 이 방문의 목적은 무역 제한, 특히 호주 와인 및 보리에 대한 무역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 호주 외교부 장관은 대중 목재 수출 회복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는 마닐라 방문 중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이러한 무역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 호주와 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또한 채머스 호주 재무장관은 "이번 정부의 대중 경제관계 안정화를 위한 한 중요한 걸음"이라고 말했다.
채머스는 "우리에겐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우리는 이 관계를 안정시키고 무역규제를 철폐하는 데 어떤 진전도 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 임산물 협회도 중국의 결정을 환영했다.협회의 조엘 피츠기번 책임자는 성명에서 "목재금지는 많은 목재 수출업자와 더 넓은 산림 부문에 큰 혼란과 불확실성을 가져왔고, 오늘날 이 결정은 환영받을 만하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해 2870억 호주달러(약 1조3000억위안)의 양국 교역량을 기록한 호주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다.
호주는 4월 세계무역기구(WTO)에 중국 시장을 호주 보리에 다시 개방해 달라는 제소를 중단했다.
이에 중국은 호주산 밀에 대한 관세 결정을 재검토할 것이라는 소식이다.
관련기사
- 일본의 반도체 산업 부활 전략... 대만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공급망 재편 분위기 편승
- 영국 중앙은행, 영국 임금-물가 상승에 직면, 스파이럴 현상 불가피
- 인도, 영국과의 자유 무역 협정 난항
- 미국 집값, 11년 만에 최대 하락
- 中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회담 공식화".... 사무국 설치 및 "2년마다 회담 개최" 합의
- [월드e] 필리핀오락게임공사 PAGCOR, 역외 게임 면허소지자와 공인서비스 제공업체에 규정 준수 강조
- 3대 세력간 글로벌 결제 시장 쟁탈전
- 모든 호주산 양모, 중국이 구매 중
- 中바이어들 호주 부동산 시장에 복귀
- 호주, 중국경제 회복에 힘입어... 15년 만에 예산 '흑자 달성'
- 전 세계 리튬 가격, '한겨울'을 만나 거의 50% 폭락
- 호주 정부, 중국의 석탄 수요가 205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추정
- 호주 총리, 인도와 포괄적 무역협정 희망
- 중국-호주 무역분쟁 '완화 조짐'... 호주 식품수출업체 득 보기 시작
- [월드e] 中 유학생 수만 명 복귀... 호주 부동산 임대 시장 공급부족
- 호주-중국 관계 개선 기대... 호주 상공인 대표단 방중 준비
- 정부 "중국발 단기비자 발급 11일부터 재개"... 상호주의 차원에서 중국도 상응한 조치 기대
- 중국-호주 신선한 랍스터 무역 재개 전망
- 호주, 중국과 3년 만에 고위급 무역 회담
- 中 원격학습 졸업장 인정 안해... 수천 명 중국 유학생 호주 학교 복귀 러쉬
- 중국-호주 무역장관 3년 만에 온라인 회담... 양국 관계 해빙 전망
- JP모건 "호주 경제, 중국 관계개선으로 호전" 전망
- 중국ㆍ호주 양국 관계 회복... 호주행 중국 유학생 증가
- 호주, 인도와의 무역협정 발효... 유학·와인 및 관광 활성화 기대
- 호주 육류 기업, 전면적인 대중 수출 재개 기대
- 중-호주 관계 회복 '청신호'... 호주 재계 공식 의제에 '중국 방문' 다뤄
- [Inside] 호주, 10여 년 만에 처음 금리 인상...인플에이션 억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