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영국, 자동차와 주류 관세와 투자자 보호법 합의 불발
양국, 자유무역협정 통해 2023년까지 무역 두배로 늘릴 것
영국 무역부, “영국 국민과 경제에 가장 이득이 되는” 협정에 서명할 것

인도와 영국은 자우 무역 협정 협상 중에 있지만 일부 선박의 대한 관세문제와 양국 내 외국인 투자 보로 규정에 대한 이견으로 인하여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고 1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보도하였다.
인도 소식통은 이렇게 진전이 없을 경우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임기가 끝나기 전 협정이 성사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소식통은 또한 양국은 협상에서 인도가 자동차와 주류 수입에 부과하는 관세에 대한 양보에 합의할 수 없었으며 이 부문이 협상 난항에 큰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고 전하였다.
더불어 관세 이외에도 영국은 인도가 협정의 일부로 투자자들의 대한 강력한 보호 조항에 동의하도록 압박하고 있다고 전하였다.
회담 관계자는 “영국은 최종 협상을 진행하려면 투자자 보호조항을 필수적으로 따라주어야 한다고 주장해오고 있다.”라고 말하였다.
인도와 영국 간의 자유 무역협정은 위스키와 같은 주류, 프리미엄 자동차 및 투자자 법률 조항등의 서비스의 대한 더 넓은 접근권을 보장하게 될 것이라고 매체는 전하였다.
양국은 이러한 협정을 통해 2030년까지 양국 간 무역을 두 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의 경우, 영국과의 협정이 성사될 시 호주와 중간 무역 협정을 체결한 이후 선진국과의 첫 번째 협정이 될 것이다. 인도 전문가들은 또한 이번 협정은 나렘 드라 모디 정권의 내년 총선을 앞두고 기업 친화적 이미지를 공고히 하는 결정적 시기라고 평가하였다.
양국은 현재 지난 12월보다 더 많은 부분의 대한 논의를 이어왔지만 완료할 수 없었다며 이들은 현재 총 26개의 조항 중 13개의 조항만 동의하였다고 밝혔다.
더불어 양측은 임시 혀정의 가능성을 온전히 배제하였다고 덧붙였다.
영국의 비즈니스 및 무역부 대변인은 “양측 모두에게 가능한 최선의 거래를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라고 말하였으며 “우리는 공정하고, 균형 잡힌, 궁극적으로 영국 국민과 경제에 가장 이득이 되는 거래를 할 때만 서명할 것이라는 것을 분명히 합니다.”라고 전하였다.
한편 인도의 통상, 재정, 및 외교부는 논평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 영국 브리티시텔레콤, 42% 감원 발표
- UAE, 중동서 리더십 과시... "외교적 중재" 역할
- 인도, 거액의 인센티브 도입... IT 제조업 '생산 장려'
- 영국 중앙은행, 영국 임금-물가 상승에 직면, 스파이럴 현상 불가피
- 일본의 반도체 산업 부활 전략... 대만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공급망 재편 분위기 편승
- 中호주산 목재 수입 허가... 2년만의 조치
- 인도, COP26 정상회담에서 기후변화 '피해 보상' 안건 제출
- 인도-아세안, FTA 재협상 검토 중
- 영국, ‘생활고’ 고려... 유류세 및 각종 세율 인하
- 인도, 국산 반도체 부흥 계획 줄줄이 좌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