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천연자원부 장관, 2022년 말까지 석유 및 가스 수출을 하루 최대 30만 배럴까지 증산 언급
현재 러시아산 석유 금수조치에 각국의 에너지난 가중... 화물 선적도 피해

캐나다가 미국 및 서방의 대러 원유 금수조치에 따라 세계 각국의 원유 및 가스 부족 현상이 나타나자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자국의 석유 생산을 증산하여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혀 화제가 되고 있다.
조나단 윌킨슨(Jonathan Wilkinson) 캐나다 천연자원부 장관은 캐나다가 2022년 말까지 석유 및 가스 수출을 하루 최대 30만 배럴까지 늘려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으로 촉발된 글로벌 에너지 안보 우려를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25일 홍콩의 유력 일간지 명보(明報)의 보도에 의하면, 윌킨슨 장관은 유럽 국가들의 요청에 따라 캐나다가 러시아의 천연가스를 캐나다의 액화천연가스(LNG)로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윌킨슨에 따르면 캐나다는 올해 하루 최대 200,000배럴의 석유 수출을 늘리고 천연가스를 하루 10만 배럴로 늘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유럽 국가와 동맹국들이 단기적으로 러시아의 석유와 가스에서 벗어나 대륙 전체의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캐나다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캐나다는 현재 약 400만 배럴의 석유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다른 지역으로 수출되고 있다.
그는 또한 캐나다가 유럽 국가들과 더 많은 LNG 프로젝트를 건설할 수 있는지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현재 캐나다는 LNG를 수출하지 않지만 쉘이 이끄는 컨소시엄은 서해안에 대규모 LNG 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한편, “러시아 석유·가스 산업계가 미국 등 서방 국가의 러시아산 원유 금수조치에 대한 영향을 본격적으로 입기 시작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서방 국가들은 이때까지 러시아 에너지 수출을 직접적으로 제한하는 것을 피해왔다. 그러다 미국과 캐나다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조처를 했고, 러시아산 에너지에 의존도가 높은 유럽연합(EU)도 이를 고려 중인 상황이다.
여기에 서방 에너지 기업들의 이탈로 북극에서 태평양에 이르는 주요 프로젝트들이 차질을 빚고 있다.
엑손모빌은 지난 1일 러시아 석유·가스 사업에서 철수하고 신규 투자를 중단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 회사는 러시아, 일본, 인도 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대표해 사할린-1 프로젝트 등 러시아에 40억 달러(한화 약 4조8000억원) 상당의 사업에 참여했었다. 그러나 이번 러시아 제재를 계기로 사할린-1 프로젝트 등을 포기함으로써 러시아에서 25년 이상 지속된 사업을 끝마쳤다.
관련기사
- [비전ON] LG화학, 대산공장 폭행사건 이전에도 청주공장에서 또 다른 폭행사건 있었다.
- 펜스 前 미 부통령 “북한 도발은 韓·美 동맹 굳건 해질 뿐"
- 아마추어 미술작가들의 전시회.."가까워 지다"
- [중국망] 중국 각 지방정부, 대학생의 취업 지원 조치 러시
- 미국, EU에 천연가스 공급 확대…‘에너지 안보 TF’ 구성
- 네팔, 수입 전력 가격 인상에 수급 난항
- 캐나다 금리 0.5% 인상... 예상 0.75%보다 덜 올려
- 바이든 국경 시찰 코앞… 미 정부 및 멕시코 이민 관계자 회동
- 캐나다, 주거문제 해결 위해... 외국인은 2년간 집 구매 금지
-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4.25% 인상... 15년만 최고치
- 캐나다, 중국에 초점 맞춘 새로운 인도-태평양 전략 시작
- [월드e] 美 상품 무역적자 7.2% 증가... 대중 수출 감소
- 캐나다 인구 조사 결과, 이민자가 캐나다 인구의 거의 4분의 1
- LG엔솔, 리튬 소재 중국 의존도 신속 탈피... 캐나다産 리튬으로 미국 인플레법 대응
- 캐나다 싱크탱크: 홍콩, "세계에서 가장 자유로운 경제체제"
- 인도, 중산층과 농촌 가정 자녀 유학 보내는 추세 확산
- 전세계 고온 가뭄, 식량 생산 감소 추세
- 캐나다, 권총 수입 금지 선포
-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 물가 상승률 8% 상회 전망
- G7 국가 중 일본 기업 러시아 퇴출 최저... 3%미만
- [Inside] 호주, 10여 년 만에 처음 금리 인상...인플에이션 억제
- [Inside] 이스라엘, 처음으로 위안화를 외환보유액 포함...2% 비중 차지
- 캐나다 탄소배출 감축계획 발표...73억 달러 투입
- 미국, 미얀마 군 관계자 및 보병 부대에 추가 제재 부과
- 일동제약, 미국 캐나다서 '표적항암제 후보물질' 특허 취득
- [노마드N] 녹십자, 1천억원 회사채 발행 준비...캐나다 공장 마무리 등 해외사업 실탄 다지기
- [게임뷰] 샴파뉴 캐나다 통상부 장관, 넷마블게임즈 방문...카밤 인수, 상장 축하인사 건네
- 한국, 무비자 여행가능국 172개 국...캐나다등과 함께 공동 6위
- 셀트리온 '램시마', 캐나다에서 염증성장질환(IBD) 치료제로 허가
- 경기도교육청, 캐나다 지역교육청과 학생 중심 교류 협력 추진
- 고대구로병원, 캐나다 병원과 '뼈 재생' 공동연구 3자 양해각서 체결
- 메디포스트, 폐질환 치료용 조성물 캐나다서 특허 취득
- '한·캐나다 클린에너지 비즈니스 포럼'...에너지분야 협력 MOU 갱신
- LS전선, 미국 ·캐나다서 1억달러 규모 해저케이블 사업 수주
-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자동차의 만남...'캐나다 자동차 전시회'
- [게임뷰] 컴투스 ‘서머너즈 워’, 전 대륙 주요 지역서 구글 제휴 프로모션 진행
- LG G6, 7일 미국·캐나다 등 북미 주요 이동통신사 출시...해외 시장 본격 공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