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금리, 2008년 이후 최고 수준
올 들어 6차례 연속 금리인상 조치

캐나다는 지난 7월 100bp와 9월 75bp 자이언트 인상을 단행했다.
하지만 캐나다는 물가 상승률이 높으며 근원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캐나다 중앙은행은 26일(현지시간) 정책회의를 개최해 기준금리를 기존 3.25%에서 3.75%로 50bp(0.5%포인트) 올린다고 밝혔다.
이같은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들이 예상한 75bp 수준에 못미치는 수치로 당초 예상을 빗나갔다.
온 캐나다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 속도를 조금 늦춘 셈이다.
금융전문가들은 "캐나다 중앙은행 캐나다은행이 예상보다 기준금리를 덜 올리며 공격적 금리인상의 끝을 향하고 있다"고 논평했다.
금리는 2008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 들어 6차례 연속 올려 급격한 인플레이션 현상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7월 캐나다은행은 주요 7개국(G7) 중앙은행들 가운데 유일하게 금리를 단 한번에 1%(빅 자이언트 스텝) 높이기도 했다.
하지만 선진국 가운데 긴축의 선봉에 섰던 캐나다가 이제 인상을 낮추기 시작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캐나다 중앙은행 캐나다은행이 예상보다 기준금리를 덜 올리며 공격적 금리인상의 끝을 향하고 있다"고 논평했다.
캐나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내년 말경 3% 수준으로 떨어지고, 2024년이 되어서야 2%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이 금리인상의 폭을 낮췄다는 평가가 나왔다.
한편 캐나다 중앙은행은 캐나다의 경제 성장추세가 올해 말부터 내리막길을 걸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캐나다 중앙은행은 올해와 내년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각각 3.3%, 0.9%로 전망했다.
캐나다은행은 이날 금리인상을 발표한 성명에서 금리인상의 효과가 경제에 파급효과를 미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이른바 부동산 가격상승추세가 둔화하고 가계 지출(소비)도 줄고 있어 물가인상 추세도 잡혀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6.9% 상승했지만 6월의 8.1%보다 낮아졌는데 에너지(휘발유) 가격하락이 주효했다.
하지만 물가인상 목표치(2%)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2024년 말이 되어서야 물가지수가 목표에 도달할 것으로 캐나다은행은 전망했다.
한편 캐나다 중앙은행은 "경제 성장추세가 올해 4분기부터 둔화되기 시작해 내년 상반기에는 정체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관련기사
- 독일, 생산자물가지수 계속 상승... 1949년 이래 가장 큰폭
- 테슬라, 중국서 가격 인하... 전기차 시장경쟁에 능동적 대응
- TSMC 회장, 직원들에게 휴가독려... 주가 4% 넘게 하락
- [기고] 아프리카 말라위 국가를 아십니까?
- 인도네시아, '세컨드 홈 프로젝트 비자' 발급 추진... 전세계 부자들 발리 이주 유치
- 캐나다 인구 조사 결과, 이민자가 캐나다 인구의 거의 4분의 1
- 정기예금으로 몰리는 자금들 ‘저축성 예금 790조 규모’
- 바이든 국경 시찰 코앞… 미 정부 및 멕시코 이민 관계자 회동
- 캐나다, 주거문제 해결 위해... 외국인은 2년간 집 구매 금지
-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4.25% 인상... 15년만 최고치
- 캐나다, 중국에 초점 맞춘 새로운 인도-태평양 전략 시작
- [월드e] 美 상품 무역적자 7.2% 증가... 대중 수출 감소
- LG엔솔, 리튬 소재 중국 의존도 신속 탈피... 캐나다産 리튬으로 미국 인플레법 대응
- 캐나다 싱크탱크: 홍콩, "세계에서 가장 자유로운 경제체제"
- 인도, 중산층과 농촌 가정 자녀 유학 보내는 추세 확산
- 전세계 고온 가뭄, 식량 생산 감소 추세
- 캐나다, 권총 수입 금지 선포
-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 물가 상승률 8% 상회 전망
- G7 국가 중 일본 기업 러시아 퇴출 최저... 3%미만
- [Inside] 호주, 10여 년 만에 처음 금리 인상...인플에이션 억제
- [Inside] 이스라엘, 처음으로 위안화를 외환보유액 포함...2% 비중 차지
- 北美 이상기후로 전 세계적 식량난 우려
- 캐나다 탄소배출 감축계획 발표...73억 달러 투입
- 미국, 미얀마 군 관계자 및 보병 부대에 추가 제재 부과
- 캐나다, 석유 및 가스 수출을 늘려 러시아의 공급 부족에 대응 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