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화재‧흥국화재도 이미 철수
IFRS17 체제에서 저축성 보단 보장성 보험 집중 유리

삼성화재가 방카슈랑스 영업을 시작한 지 21년 만에 방카슈랑스 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
새 국제회계제도(IFRS17)가 도입되면서 저축성 보험보단 보장성 보험에 집중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으로 분석된다.
지난 4월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가 지난 1월부터 은행들을 대상으로 장기보험 신규 판매를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제휴에 따라 기존 판매했던 상품만 관리할 예정이다.
이처럼 삼성화재가 방카슈랑스 판매를 중단한 것은 지난 2023년 보험업계에 도입된 IFRS17 영향으로 ‘IFRS17’체제에서 보험사는 저축성 보험을 매출 대신 부채로 간주한다.
IFRS17에서 보험사 이익지표 중 핵심으로 꼽히는 보험계약마진(CSM)을 확보하기 위해선 저축성 보험보다는 보장선 보험을 판매하는게 유리하다.
이에 보험사 입장에선 은행에 수수료를 내면서까지 저축성 보험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방카슈랑스에 집중할 동기가 줄어든 셈이다.
삼성화재 이외에도 메리츠화재와 흥국화재 등 손보사가 이미 방카슈랑스에서 이미 철수한 상황이다.
이같은 이유에서 앞으로 보험사들이 방카슈랑스 철수를 결정하는 사례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에 따르면 손해보험사의 방카슈랑스 수입보험료는 2018년 2,993억 원에서 2022년 15% 줄어든 5조 3,001억 원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 내 연봉이 1억원, 나도 금융업에 가고싶다
- [기고] '적극적인 행정'으로 전주를 밝고 희망찬 도시로!
- [기고] 전북 지자체장의 적극적인 지원 마인드 권고...투자유치의 관건
- ‘디지털 금융상품’ 출시, 개인사업자 상품도 눈길
- [기고] 전주를 밝고 희망찬 도시로ᆢ!
- 공정위, 손보사 8곳에 과징금 17억 6,400만 원 ‘사유는 입찰 담합’
- 삼성그룹 금융계열사 (삼성생명·화재·카드·증권) '통합 플랫폼' 구축
- 이재용 실형 선고, 동시에 삼성 그룹 주가 폭락
- 이재용, 야심찬 '뉴삼성'의 꿈...새해 첫 준법위와 만남
- 부고 직후 삼성물산·생명 급등, 증권가 "천문학적 상속세...배당 늘릴수도"
- 민주당 ‘삼성생명법’ 발의, 이재용 기소여부와의 연관성
- 이른바 ‘삼성생명법’, 민주당의 삼성 힘 빼기 전략?
- 대형손보사, 29일부터 車보험료 3.3~3.5% 줄인상
- 보험업법 개정 추진해온 김기식 금감원장 취임...삼성 금융계열사, 전자 지분 처리 방향은?
- ERP 시리즈는 잊어라..."로봇이 관리하는 RPA, 전방위로 확산중"
-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혁신 기술 'Block chain', 기업의 경쟁력을 바꾼다
- 자동차 보험 만족도...온라인은 AXA다이렉트·The-K손해보험, 오프라인은 삼성화재가 높아
- 삼성·현대차·롯데·한화 등 주요 그룹 총수들 금융계열사 대주주로 '적격'
- 주행기록과 연계한 UBI 출시에 공공데이터 개방까지... 커넥티드 카, 플랫폼 역할 더욱 강화
- 삼성화재, 베트남 손보사 PJICO 지분 20% 인수 계약..."기존 현지법인과 협업해 '윈윈' 가능한 사업기반 확보"
- 금융감독원, ‘펀드신속심사실’ 신설 결과 발표 “신설 이후 적체 건수 줄어”
- 메리츠화재-마이리얼트립, 항공권 취소 ‘위약금 보상보험’ 출시
- 투비콘, 삼성화재와 보험금 청구 절차 간소화 도입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