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 일주일 전에 열릴 예정
유럽 3개국은 이란이 고농축 우라늄 비축량 확대 비난

이란이 유렵 주요 3개국과 핵 협상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1일(현지시간) ISNA 통신에 따르면, 카젬 가리바디 외무부 법무 및 국제 담당 차관은 "이란과 유럽 3개국 간의 새로운 회담이 1월 13일 제네바에서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회담이 "협상이 아닌 협의"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유럽 3개국은 12월 17일 이란이 "신뢰할 수 있는 민간 정당화" 없이 고농축 우라늄 비축량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늘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들은 또한 이란이 핵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못하도록 제재를 복원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 감시 기관은 최근 몇 년 동안 이란이 농축 우라늄의 생산량을 늘려 핵무기 보유국 중 유일하게 60%까지 농축 우라늄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수준은 원자폭탄에 필요한 90퍼센트에 이르는 수준으로 평가 받고 있다.
11월 29일, 이란은 제네바에서 당시 가리바디가 유럽 3개국과 비밀 회의를 가졌다.
이란은 평화적 목적을 위해 핵 에너지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며 핵무기 능력 개발에 대한 야망을 지속적으로 부인해 왔다.
모든 국가 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진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오랫동안 핵무기를 금지하는 종교 법령, 즉 파트와를 발표해 왔다.
1일 늦게, 이란의 안보 책임자 알리 아크바르 아마디안은 이란이 핵무기 추구에 반대하는 핵 교리를 "변경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1월 13일 회담은 도널드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 일주일 전에 열릴 예정이다.
2015년, 이란과 프랑스, 영국, 독일을 포함한 세계 강대국들은 핵 프로그램 억제를 대가로 테헤란에 대한 국제 제재를 완화하는 합의에 도달했었다.
그러나 트럼프의 첫 임기 동안 미국은 2018년 일방적으로 협정에서 탈퇴하고 강력한 경제 제재를 다시 부과했다.
테헤란은 미국이 철수할 때까지 협정을 고수하다가 약속을 철회하기 시작했다.
관련기사
- 대한체육회장 후보 공개토론회, "도덕성과 비리 문제" 쟁점화 전망
- 마카오, 채권 상장 총액 사상 최대…경제 다각화 노력의 일환
- 태국, 2025년 BRICS 파트너국으로 합류
- 독일 경제, 주가 상승에도 기업 체감 경기 악화
- 베트남, 농림수산물 수출 역대 최고치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 캐나다와 베트남, 농산물 무역 및 가공 산업 협력 강화
- 사우디 외무장관, 지역안정 위해 이란·튀르키예ㆍ미국측과 회담
- 이란, 국방예산 3배로 대폭증액
- 혜우(惠雨) 남혜경 초대전, "비를 소재로 기독교 정신을 투영 하는 작가" 인상 심어줘
- 미국, 카타르, 이집트는 카타르에서 이스라엘 대표단을 만나, 전쟁 종식 논의
- 블링컨 장관, "미국이 이란과 이스라엘에 분쟁을 확대하지 않을 필요성을 전달했다"
- 이란, 지역적 확대를 원하지 않지만 이스라엘을 "처벌해야 한다"
- 수단, 이란에 8년 만에 무역대사 위촉
- 이란의 신임 대통령, 모든 국가들과의 균형을 약속
- S&P, 이스라엘 신용등급 강등
- 세계 10대 산유국 순위, 미국 다시 1위
- (주)ANYBAND 사업 베트남 진출... AUA 홀딩스와 MOU 체결식 가져
- 이란, “미국 달러 영향력 줄여야 서방 지배력 최소화할 수 있어”
- IAEA, "이란, 무기급에 가까운 농축우라늄 제조 검출"
- 이란 화폐 가치하락... 정권의 최대위협
- 라이시 이란 대통령, “우리가 미국으로부터 이란 지킨 것”
- [월드e] 이란·러시아, 에너지 및 무역 관계 강화 서명
- 이란, 자동차 수입 금지 해제... 6월부터 자동차 수출 가능
- JP모건, “러시아 에너지 제재 땐 유가 배럴당 180달러” 전망
- 미국, 예멘 후티반군 금융망 제재...불법 지원 '자금 줄' 차단
- 2월 선거를 앞둔 1월 독일의 인플레이션, 2.8%로 안정세
- 미국 부유층, 스위스로 자산 이동 가속화…탈미국화 흐름 본격화
- 독일, 1분기 경기 반등에도 불구 실업률 10년 만에 최고
- 프랑스, 2026년부터 스팸 텔레마케팅 전면 금지…수신자 동의 필수
- 이란, 고농축 우라늄 생산 급증
- 프랑스, 7월 1일부터 해변·공원·학교 주변 전면 금연 시행
- 독일 국경 도시, 인구 유입 위해 ‘2주 무료 체류 체험’ 도입
- 독일, 구글·페이스북에 10% 세금 검토…트럼프와의 갈등 우려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