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전자상거래협회(VECOM)와 국제 전자상거래 연구기구 액세스 파트너십(Access Partnership)이 16일 하노이에서 공동으로 ‘온라인 수출 발전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베트남 중소기업(MSMEs)과 영세기업들이 온라인 수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중요성과 전략이 논의되었다.
세미나에서 메간 림 액세스 파트너십 경제전략 매니저는 2023년 베트남의 B2C(기업 대 소비자) 전자상거래 수출액이 1조5000억 동(약 16억 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자상거래가 국가 경제에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베트남 GDP는 2019년 86조 동(약 35억 달러)에서 2028년 145조2000억 동(약 58억 달러)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중소기업이 전체의 2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천원중 베트남 전자상거래협회 사무총장은 “최근 몇 년간 베트남 전자상거래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국경을 넘는 전자상거래는 그중에서도 하이라이트”라고 강조했다. 그는 적절한 정책과 해결책이 뒷받침된다면 온라인 수출이 국가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미나에서는 베트남의 온라인 수출이 곧 걸음마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성장과 도약의 단계로 접어들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VECOM 협력부 돤궈신 주임은 “2025년은 온라인 수출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는 해가 될 것이며, 2026년에는 도약 단계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들이 고품질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은 자체 웹사이트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것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온라인 수출 플랫폼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신속히 진출해야 한다. 또한 국가 전자상거래, 디지털 경제, 물류, 세관 등 관리 기관이 온라인 수출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과 솔루션을 마련하는 것이 두 번째 조건으로 제시되었다.
세미나에서 발표된 ‘2024년 베트남 전자상거래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베트남 경제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상거래는 2022년 대비 25% 이상 성장해 250억 달러에 달했다. 그중 온라인 소매 판매 규모는 173억 달러를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2024년 베트남 전자상거래의 주요 트렌드로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를 꼽으며, 이를 ‘불가피한 추세’로 평가했다. 베트남의 온라인 수출이 향후 국가 경제 발전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며, 특히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이 국가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세미나는 베트남 전자상거래가 단순한 국내 시장 성장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시장을 향한 새로운 도약의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2025년과 2026년이 베트남 온라인 수출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정책적 지원과 기업들의 혁신적인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 닛케이 존재감 하락, 일본 기업들 글로벌 시장 활로 찾아야
- 유가 하락... 세계 경제에 미치는 다중적 영향
- 연준회의 전, 기술주 사상 최고치 기록
- 러시아, 인플레이션과의 전쟁... 엄청난 금리 인상에 대비
- 한일시멘트, 에너지 효율목표 제도 ‘KEEP 30’ 우수기업 인증 획득
- 브라질 달러, 최고 6.09까지 올라... 중앙은행 추가 경매로 주춤세
-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인 닛산과 혼다 자동차 합병설
- 베트남 디지털 경제, 2024년 두 자릿수 성장 지속
- 베트남 토종 전자업체, 발전의 한계에 처해
- 인도네시아, 인공지능 개발센터 2억달러 투자
- 다국적 이커머스 플랫폼 베트남 시장에 주목
- HSBC 전문가 "베트남, 디지털경제 성장속도가 아세안 앞섰다"
- 박찬조 서울 중구상공회의소 수석부회장, 베트남 비나파마그룹 그룹 한국대표로 임명
- 中, 동남아 5개국과 ‘국제 경제협력 5개년 발전계획(2023~2027)’ 체결
- 베트남인들, 틱톡 전자상거래에 경쟁적으로 뛰어들어
- 동남아, '등거리 외교' 정책 ... 중·미 동시 투자 유치
- 동남아, 글로벌 거시경제 역풍에도 '디지털 경제 발전'은 가팔라
- SAPO, 베트남의 효과적인 다채널 관리•판매 플랫폼
- 전통 공예 직업들과 발전된 빈즈엉성 관광
- 디지털 농산품 판매를 위한 베트남 선라성의 노력
- 중국과 태국 시장을 어떻게 '공략'할 것인가?
- [월드e] 선라성, 베트남 북서지역 하이테크 농업 중심지 건설 지향
- 라이브 커머스, 동남아시아에서 빠르게 발전
- 베트남, 아마존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 AUA Holdings Group, 디지털경제 뜨는 베트남 "진출 시동"
- 베트남 2024년 해외에서 송금받은 금액 160억 달러
- 베트남, 2025년 과일 및 채소 수출 목표 80억 달러 설정
- 베트남, 2025년 경제 성장률 8% 달성을 위한 수출 확대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