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재에 따른 루블화 약세는 인플레이션 압력 가해

전쟁에 초점을 맞춘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이 계속 치솟으면서 러시아 중앙은행은 이번 주 후반에 대규모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16일(현지시간)미국 CNBC가 보도했다.
러시아 소비자 물가지수는 만연한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중앙은행의 반복적인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계속 상승하고 있다.
11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8.9%로 상승했으며, 이는 10월의 8.5%에서 상승했다.
새로운 미국 제재에 따른 루블화 약세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부추겼다.
11월 미국의 새로운 제재에 따른 루블화 약세도 인플레이션을 부추겨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경제에 큰 타격을 입은 러시아 입장에서 수입 비용을 끌어올렸다.
러시아 식품 가격이 치솟고 있지만 아무도 감히 푸틴과 전쟁을 비난하지 않는 상황이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 한일시멘트, 에너지 효율목표 제도 ‘KEEP 30’ 우수기업 인증 획득
- 동아ST,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등급평가에서 A등급 획득
- 한중미술협회 중국 9곳 초대전 / 외부작가에 문호 개방
- 연준회의 전, 기술주 사상 최고치 기록
- [기고] 겸손은 천하를 얻고 교만은 깡통을 찬다
- 베트남 온라인 수출, 전자상거래 성장의 핵심으로 부상
- 2024년, 코코아 가격 폭등…올해의 최고 퍼포먼스 상품 선정
- 우크라이나, 러시아 가스의 유럽 유입을 저지
- 미국 12월 소비자 인플레이션율 상승… 핵심 CPI는 완화 조짐
- 러시아, 지난해 금 구매량 2013년 이후 최고 기록…세계 5위 진입
- [비전 인사이트] "영원한 우방도, 영원한 적도 없다", 우크라이나 협상이 주는 교훈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