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80에 수소엔진 장착해 시험
CFM인터내셔널과 제휴

프랑스의 항공기 제작사이자 방위산업체인 ‘에어버스’(Airbus)가 수소 비행기 개발 프로젝트를 가속화 중이다.
지난 2월 22일 에어버스는 미국-프랑스 합작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인 CFM인터내셔널(CFM)과 제휴, 차세대 수소 비행기 추진 기술을 A380에 탑재해 시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FM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의 항공사업부와 프랑스의 사프란(Safran)이 50대 50의 지분을 소유한 세계 최대의 제트 엔진 제조사이다.
에어버스는 특수 개조된 버전의 엔진을 A380 슈퍼점보기의 뒷부분에 장착해 시험과정을 거치게 된다.
에어버스는 지난 2023년 12월 마지막 A380을 인도하고 2024년부터 생산을 중단키로 한 상태황이다.
에어버스는 CFM과의 공동 시험을 토대로 수소로 비행하는 소형 여객기 ‘제로e’(ZEROe)를 개발하고 2035년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롤스로이스가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면 시장에서 예측한 2050년까지는 제트 엔진에 의존할 것이라는 항공업계의 일반적인 관측을 뛰어넘게 된다.
사빈 클라우크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제로e’가 차세대 대형 여객기에 영향을 미칠 혁신적 기술은 물론 50~100명 정원의 소형 여객기에도 적용 가능한 근본적인 신기술을 탑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자사가 수소연소기관뿐만 아니라 연료전지 기술도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에어버스의 최대 경쟁사인 미국 보잉(Boeing)의 경우 수소보다는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SAF)에 중점을 두고 있다.
관련기사
- 베트남, 심각한 항공기 부족 상황 직면할 것
- 알래스카 항공사, 보잉 항공기 5일 운항 사고 발생... '품질 문제'로 인도 상황이 불확실
- 에어버스, 보잉 제치고 '최대 항공기 제작사'로 부상
- 미국 발 아시아 행 항공권 값 올라
- 지난 1년 반 동안 스페인의 군비 수출 대폭 증가
- 프랑스, 중동서의 영향력 확대 모색... 영향력이 눈에 띄게 커져
-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재공업화 촉진되 길 희망"
- 캄보디아, 앙코르 국제공항 취항... 초기에는 연 700만명 여객 수송 가능
- 보잉, 부품 문제로 '납품계획 차질' 전망
- 향후 10년 동안 전 세계 "신규 여객기 수요 증가" 예상
- 에어버스, 中서 160대의 여객기 계약, 두번째 "조립공장 신설"
- [월드e] 필리핀 저가 항공사 '세부 퍼시픽', 클락 허브 확장
- 세계 항공산업, 탄소배출량이 적은 '탈탄소' 연료 개발 시동
- 에어버스, 2022년 주문 및 인도량 보잉보다 앞서
- 필리핀, 방역강화 차원에서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검역 강화
- 항공업 회복 너무 빨라... 전 세계 '비행기 부족'
- 中 남방항공, 중국 최서단 공항에 정식으로 취항
- 中, 170억 달러 140대 항공기의 '통큰 오더'... 올해 중국의 두번째 구매 협약
- 인도 총리 모디, C-295 조립라인 구축계기로... "인도, 수송기 제조 중심 돼야"
- 독일, 노동력 태부족... 경제에 부정적 충격
- 롤스로이스-이지젯, ‘녹색 수소 항공기 엔진’ 첫 가동 성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