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입국 절차가 점차 간소화되고 인력 이동 정상화로 인해
2023년 4분기 중 미·일 노선의 좌석 수는 13% 줄어들어
미국을 여행하는 일본인들에게 비싼 티켓 가격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

14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따르면 미국발 아시아 노선 운임이 중국·일본 주요 노선의 약 30%까지 오르고 있다.
아시아의 전염병 통제 및 개방 속도는 유럽, 미국보다 느리지만 출입국 절차가 점차 간소화되고 인력 이동이 정상화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밖에 항공편이 적은 것도 요금 인상에 한 몫을 했다.
신문은 2023년 미국 주요 공항과 해외 주요 도시 간 노선의 이코노미 클래스 요금을 분석해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오른 200편의 항공편을 계산했는데, 이 중 80편이 일본과 중국으로 향했다.
일본은 2023년 4월 실제로 코로나19에 대한 입국 통제 조치를 없애 출입국 어려움을 낮췄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나리타·하네다·간사이 공항까지 29개 노선의 운임은 전년보다 20~50% 올라 평균 25% 올랐다.2023년에는 전년 대비 7% 성장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중국 노선도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51개 중국·홍콩 노선의 운임은 평균 31% 올랐다.중국은 2023년 1월 입국 격리 조치를 해제하면서 수요를 회복했다.
코로나19로 수요가 급감했던 2020년에는 일부 항공사가 비용 절감을 위해 대형 비행기를 팔았기 때문에 현재 제공할 수 있는 좌석 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았다.
보잉, 에어버스 등 양대 항공기 제작사 모두 대량 주문을 받았지만 인력난과 공급망 중단으로 증산이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아 납기가 늦춰질 전망이다.
2023년 4분기 중 미·일 노선의 좌석 수는 13%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을 여행하는 일본인들에게 비싼 티켓 가격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경동나비엔, 공기수비대㈜와 업무협약 체결…”공기질 관리 솔루션으로 새집증후군 해결”
- [월드e] 몽골, 2024년 경제 7% 성장 예상
- [월드e]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브루나이 마틴 왕자 결혼식 참석
- 전문가들, "미국 경제가 올해 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
- 태국, 국가 차원에서 '저출산 문제' 우선적으로 해결
- (사)한국식문화세계교류협회 류현미 회장, 한중직업교육 객원교수 임명 받아
- 새해부터 브라질 한인타운 지역 한인점포 도둑피해... 약 1만헤알 피해입어
- 에어버스, 차세대 수소 여객기 개발 ‘2035년 상용화 목표’
- 홍콩 국제공항, '전 세계에서 가장 바쁜 화물 공항'
- 알래스카 항공사, 보잉 항공기 5일 운항 사고 발생... '품질 문제'로 인도 상황이 불확실
- 에어버스 A350 동체 표면 결함문제 "법정 투쟁"비화... 카타르, A350 53대 중 21대 "비행 중단"지시
- 보잉, ‘양자 센서’로 GPS 없는 항공기 운항 시대 열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