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에는 27만 9,153명,
올해 전체 관광객의 37.6%에 해당

유학, 취업, 영주권 이외의 목적으로 몽골에 입국한 관광객이나 외국인에 대한 통계 데이터는 이전에는 외국인 시민 국적부에서 발표했다.
그러나 앞으로 관광 전문 협회 운용 홈페이지 **www.mto.mn**을 통해 연도별, 월별, 일별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14일 몽골 운드르지가 보도했다.
금년 들어 현재까지 몽골을 찾은 관광객은 741,873명이다. 2024년 관광객 100만 명 유치 계획과 목표를 74.1% 달성한 셈이다.
1월부터 10월까지 몽골을 찾은 외국인은 72만 4,663명이며, 이달 초부터 총 1만 7,210명, 하루 평균 1,323명이 몽골을 찾았다.
연중 가장 활발한 성수기인 7~8월에는 27만 9,153명이 찾았는데, 이는 올해 전체 관광객의 37.6%에 해당한다.
러시아, 중국, 한국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몽골을 방문했다. 이는 전체 여행객의 77.5%(57만 5,226명)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일본, 카자흐스탄, 미국, 대만, 독일, 터키, 프랑스 순이다.
지난해 몽골은 역사상 처음으로 5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을 유치했는데, 총 651,061명이었다. 이제 90,812명, 즉 12.2% 더 많은 여행자가 몽골을 방문한 셈이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관광객 흐름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올해 관광객 100만 명 유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 외국인 필리핀 투자 약속 급증
- 제2회 고흥우주항공배한궁대회 성료
- 아르헨티나 10월 인플레이션, 3년 만에 최저치 기록…긴축 정책 효과 나타나
- 아르헨티나, 2만 페소 고액권 지폐 발행
- 일본, 반도체·AI 산업에 10조 엔 투자 계획 발표
- 베트남, AI와 반도체 산업 육성에 박차
- 중국, 미국의 수출 통제 리스트에 기업 추가 비난...상응한 보복 조치 약속
- [월드e] 몽골, 미국과 "포괄적 전략대화" 개최
- 러시아, 올해 5개월동안 '총교역액 감소.무역 수지 급증'
- 일본, 반년새 외국인 관광객 1777만7200명... 과잉관광에 딜레마
- 일본, 관광객 '1분 통관' 시스템 내년 도입
- 독일, 중국과의 대외 무역 축소... 작년 동기 대비 14% 감소
- 중국의 '신흥 산업' 부상으로 민간 대기업 취업 인기
- 중국, 6월 15일부터 대만산 134개 품목 대상 ECFA 관세 혜택 중단
- 미국, 서방의 제재에도 러시아 원자재 수입 크게 증가
- 중국-몽골 외교장관, 베이징에서 회담을 가져
- 한·중 여행 산업, 아직 "춘래불사춘"... 4분기 제주도 부터 "입국 증가 추세"
- 일본 기업 방중 대표단 "중국 상무부장은 이미 일본에 상호 무비자 입국 요청 제시"
- [비전ON] 미국, 러시아에 재재 속... 월평균 10억 달러 상품 러시아로부터 수입
- 미 상원외교위, 대만 정책법안 통과
- 미, 러시아 금융 제재 강화…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 중국, 동북 진흥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 대러 무역 환경 개선
- 미국, 9월 대러 수출 9040만 달러 기록... 3월 이후 최대
- 분쟁을 종식시킨 중국과 몽골 국경 연결 협정
- 몽골, 올해 1조 2000억 모기지론 지원
- 몽골, 특수여건 근무자 급여 현실화 및 최저임금 인상
- 몽골 정부, 양모 및 캐시미어 가공 산업 개발에 3,300억 배정
- 몽골 타반톨고이 석탄 물류 센터, 최대 용량에 도달... 수출 운송에 결정적 기여
- 미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 3월 기준 12% 감소…독일 관광객 28% 급감
- 몽골, 중국과 장기 석탄 운송 계약 체결
- 울란바토르·베이징 시장 회담…경제·교통·환경 협력 강화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