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에너지 장관들은 유럽 전력시장 개혁안에 대해 공통된 입장을 취해
시장가격이 약정가격보다 낮을 경우 정부가 개입해 차액을 보전해
새로운 전력시장 설계를 통해 전력시스템을 더욱 강화

유럽연합(EU) 각국 에너지장관이 전력시장 개혁에 합의했다고 독일 일간지 르몽드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EU 국가들은 전기요금 인상으로부터 소비자를 더 잘 보호하기를 원한다. 수개월간의 협상 끝에 각국 에너지 장관들은 화요일 룩셈부르크에서 유럽 전력시장 개혁안에 대해 공통된 입장을 취했다.
이번 제안은 지난해 에너지 위기 때처럼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소비자와 산업체도 더 저렴한 전력 생산으로 혜택을 볼 수 있다. 계획에 따르면 개인도 고정가격 계약과 동적 가격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개혁의 핵심은 정부가 전력 생산업체와 새로운 장기 계약을 맺는 것이다. 이 같은 계약에 따라 시장가격이 약정가격보다 낮을 경우 정부가 개입해 차액을 보전해 주기로 했다. 가격이 합의된 가격보다 높으면 잉여금은 국가에 귀속된다. 이 방식은 각국 내 청정전력 생산을 독려하기 위한 것이다.
오랫동안 EU 국가들은 입장이 달랐고 때로는 이견이 매우 컸다. 특히 독일과 프랑스는 의견이 엇갈린다.
독일은 새 법규에 원전에 대한 보조금 허용 조항이 EU 내 경쟁을 왜곡해 결과적으로 프랑스 등 원전 생산대국의 혜택을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로버트 하베크 독일 경제장관은 "이번 합의로 유럽 전역의 소비자와 산업체가 전기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는 기회가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2022년 위기는 유럽 전력시장이 기본적으로 정상 가동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새로운 전력시장 설계를 통해 전력시스템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 아시아 중앙은행들, 자국 화폐를 보호하기 위한 "혁신적인 조치를 시도"
- 인도, '머리카락 수출 대국' 됐다... 아름다운 '검은 장발'이 장점
- (사)해외동포언론사협회와 (사)대한사랑 손잡고, "글로벌 협력 체계 구축"
-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재외선거관리위원회 178개 공관에 설치 운영
- 10월 첫째 주 中휴대폰시장 시장점유율 1위는 화웨이
- 중국-몽골 외교장관, 베이징에서 회담을 가져
- 유럽 탈공업화, 장기적인 불황을 초래할 것
- 프랑스 신재생에너지 생산계획 관련, 의문성 논란 휩싸여
- 러시아산 원유의 우크라이나 경유 금지 조치... 일부 유렵 에너지 위기
- 독일, 탄소배출거래제 시행 이후 CO2 배출량 급격히 감소
- 세계 청정에너지 기술 투자 올해 2조 달러 돌파... 턱없이 부족
- [비전 인사이트] 국가 에너지 정책, "정치적 가치 아닌 실익 우선해야” 한다.
- 태국과 중국, 잠수함 구매 협상 재료 3년 내에 인도 가능
-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처음으로 30% 초과
- 프랑스 전기 요금, 유럽 평균 수준에 맞게 통제
- 일, 유럽 최대 식품 전시회에서 수산물 적극적 홍보
- EU, 올해 경제성장 전망 하향 조정
- 덴마크, 해상 풍력으로 EU의 에너지 전환을 촉진
- [월드e] 베트남, 올해 들어 이례적인 폭염... 전력수요 급증
- 스페인 에너지 대기업들, 러시아산 LNG를 사려고 '서로 경쟁'
- 2023년 글로벌 경제, 5대 요소로 '낙관론' 제기
- 우크라이나, 유럽 전력 수출 재개
- 유럽연합, 2035년부터 판매되는 신차를 반드시 "배출가스 제로화"
- 독일 운수업계 총파업... 전국 교통 마비
- [월드e] 베트남, 청정에너지 전환 속도 갈수록 빨라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