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 국가인 포르투갈과 프랑스의 전력 수요를 충족위해
스페인이 세계에서 가장 큰 러시아 LNG 수입국
2022년 러시아 LNG 수입량을 55% 늘려
스페인 정부는 최근 수입업자들에게 러시아 의존도를 줄여달라고 요구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북극권에서 북쪽으로 약 600㎞ 떨어진 곳에 위치한 러시아의 사베타 항구는 1년 중 3개월 동안 해가 보이지 않고 영하 50도가 넘을 정도로 기온이 낮다고 스페인 일간지 디데일리닷컴이 5일 보도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이후 스페인에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모든 메탄 유조선이 그곳을 출발했다.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는 스페인인과 유럽인들이 정전이나 월별 청구서 외에 더 이상의 충격 없이 겨울을 나도록 도왔다.그러나 이는 스페인이 세계에서 가장 큰 러시아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국 중 하나가 됐기 때문에 난처한 일이기도 하다.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구매하는 것은 완전히 합법적이다.

유럽연합(EU)은 석유·경유·석탄의 경우와는 달리 러시아산 천연가스에 대한 가격압력 증가(지난해 가스 가격이 10배 상승)와 공급안전을 위협하지 않도록 제재를 가하지 않고 있다.

스페인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이후 러시아 천연가스 산업의 최고 고객 중 하나였다.

스페인은 2022년 러시아 LNG 수입량을 55% 늘렸고, 올 들어 4월까지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서 러시아 LNG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스페인 석유제품전략비축회사에 따르면 지난 14개월과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이 시작되기 전 14개월을 비교하면 스페인이 수입하는 러시아 액화천연가스 총량은 거의 두 배로 늘었다.

스페인 생태전환부 소식통은 "가뭄과 프랑스 원전 문제로 인해 발전용 가스 소비량이 늘어나게 됐다"며 "특히 이웃 국가인 포르투갈과 프랑스의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스페인 에나가스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러시아 천연가스는 스페인 가스 공급량의 17%를 차지해 알제리와 미국(모두 24%)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유럽연합(EU) 내에서 올 들어 벨기에만 스페인보다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더 많이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인은 전 세계적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이후 러시아에서 5번째로 큰 액화천연가스 구매자이다.

그러나 어떤 회사가 러시아 액화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는지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컨설팅업체 케플러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이후 올해 4월 말까지 최소 5개사가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스페인으로 운송했다고 전했다.

스페인 에너지 그룹이 주요 수입업체이며 러시아 천연가스 구매의 절반 이상이 스페인 항구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스페인 10대 천연가스·전력 마케팅 업체 중 한 명인 스위스 에너지회사 메트그룹의 스페인 자회사도 지난 14개월 동안 최소 2척의 메탄 유조선을 들여왔다.

이 회사는 "우리가 어디서 천연가스를 사는지 논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스위스에 본사를 둔 '무역상' Dxt와 에넷의 스페인 자회사 두 곳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마지막 참가자는 프랑스 토탈 에너지로 지금까지 러시아에서 수입한 천연가스가 2022년 5월 스페인에 유일하게 도착했다.

브뤼셀은 러시아산 천연가스에 대한 제재를 가하지 않았지만 2027년 러시아 의존도를 종료할 계획이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충돌이 발생한 지 며칠 만에 2022년 말까지 러시아산 천연가스 구매량을 3분의 2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후 크렘린 공급이 줄어들면서 파이프라인 수입은 크게 줄었지만 해운 수입은 30% 이상 늘었다.

이러한 성장은 부분적으로 벨기에, 프랑스, 스페인 및 네덜란드의 구매 수요에 기인한다.

글로벌 에너지 정책 센터 전문가들은 유럽 시장은 모든 LNG 공급업체에 매우 매력적이며 유럽의 주요 러시아 공급업체인 야말 LNG는 유럽 본토와 매우 가깝다고 지적하고  있다.

순수한 경제적 관점에서 기업이 인근 시장에서 구입하여 높은 가격을 지불한 EU에서 판매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스페인 정부는 수개월 동안 수입업자들에게 러시아 의존도를 줄여달라고 요구했고, 3월에는 러시아에서 신규 계약이나 기존 계약을 갱신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