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에서 높은 인플레이션·생활비 위기·높은 에너지 가격·정부의 부실한 시정으로 시위가 수개월째 이어져
독일은 에너지 위기로 가장 큰 피해를 본 나라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유럽의 민생경제 위기가 심화되면서 유럽 최대 경제대국인 독일에서는 27일부터 높은 인플레이션율에 대응하기 위해 운송부문 노동자들이 24시간 총파업에 돌입했다.

독일은 기차·버스 등 대중교통 서비스가 전면 마비됐고 뮌헨·프랑크푸르트 공항은 운행을 중단했으며 철도와 선박 화물 운송도 중단됐다.

27일 독일 곳곳의 공항과 항구·버스·지하철·기차역이 멈춰 서면서 수백만 명의 통근자들이 평일 첫날 교통이 끊겼다.

독일 베르디노조(Verdi)와 철도운수노조(EVG)가 시작한 총파업이 24시간 계속됐다.

베르디 노조는 공항 직원을 포함해 약 250만 명의 공공부문 직원을, 철도운송 노조는 독일 연방철도공사와 버스회사 근로자 23만 명을 대표한다.

항공기 결항으로  38만 여객이 영향을 받았다.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을 제외한 독일 최대 공항인 뮌헨과 프랑크푸르트 공항을 포함해 이 나라의 모든 대형 국제공항이 결항했다.

독일공항협회는 38만 명의 항공여객이 영향을 받아 프랑크푸르트에서만 1200편 가까운 항공편, 16만 명의 승객 일정이 취소되고 체류객은 벤치에서 잠을 자야 할 것으로 추산했다.

독일 외에 프랑스·영국 등 유럽 국가에서는 높은 인플레이션, 생활비 위기, 높은 에너지 가격, 정부의 부실한 시정 등에 항의하는 시위가 수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체코에서는 이달 들어 수도 프라하에서 벌어진 체코의 반빈곤 시위에 대해 우크라이나 사태보다 지도부가 자국민에게 먼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쇼르츠 정부는 임금 인상할 돈이 없다.

러-우크라  분쟁 이후 EU는 러시아산 천연가스와 석유 수입을 중단하기로 했고, 독일은 신에너지 경쟁 과정에서 충격을 받아 최근 몇 달간 유로존 평균을 웃도는 인플레이션율을 보였다.

올해 2월 독일의 인플레이션율은 8.7%에 달했다.

베르디 노조는 월 500유로 이상, 철도노조는 12% 이상, 즉 월 650유로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10.5%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 지도자들은 임금 인상 여부에 수천 명의 '생존 문제'가 걸려 있다고 경고했지만 고용주들은 최대 5%의 임금 인상을 원하고 있다.

파업 노동자들은 거의 모두 독일 공공부문에 고용돼 있어 임금이 대폭 인상될 경우 숄츠 정부의 재정 여력을 압박해 연립정부의 예산 협상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독일 재무부는 코로나19와 에너지 위기에 따른 지출 증가를 겪으면서 적자 감축에 집중하고 있다.

코메르츠방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7일 파업이 독일의 하루 수입 1억8100만유로의 운송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파업이 장기화되면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파업은 사람들의 신경을 곤두세울 것"이라며 "독일의 비즈니스 이미지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버켓 EVG 회장은 부활절 연휴에 추가 파업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여기에 갇혀 있었다."고 밝혔다.

대기업은 이익을 보는 반면 사회를 유지하는 일반인은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서민들은 2~3개의 아르바이트를 해야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에너지 전환 전망이 좋지 않다

독일 빌트는 최근 유출된 유럽연합(eu) 문서를 공개하며 독일이 에너지 위기의 가장 큰 피해를 본 나라라고 밝혔다.

유럽산업원탁회의(ERT) 조사에 따르면 독일 기업 의사결정권자의 34% 이상이 기존 기업에 대한 투자를 일시 중단하거나 축소할 계획이며 15%는 투자를 영구 중단하거나 축소할 계획이다.

독일상공회의소(DIHK)가 2만70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또 다른 조사에서 4개사 중 1곳이 생산이나 서비스를 해외로 이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에너지 가격과 공급 부족 때문에 독일 화학그룹 바스프, 자동차 메이커 BMW, 폴크스바겐 등 대기업들은 모두 다른 나라로 이전해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건설·금속·철강·제지 및 전자 산업과 같은 독일의 에너지 집약적 산업도 더 큰 영향을 받았으며 브레멘 및 함부르크 제철소의 생산량이 감소했으며 제지, 금속 및 기타 공장도 반복적으로 중단되거나 더 많은 휴무를 준비했다.

문건에 따르면 EU는 독일의 신에너지 개발 노력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독일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 시스템의 80%를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바꾸겠다고 약속했지만 가격 상승은 독일의 녹색 전환 투자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영컨설팅업체 맥킨지는 2025년까지 400만㎾, 2030년에는 3000만㎾의 전력 부족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