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자동차 판매, 한국차 급감하고 중국차 2배이상 증가

2022년 러시아 총 교역액은 8505억 달러 (2021년 대비 8.1%↑), 수출은 5915억 달러 (19.9%↑), 수입은 2591억 달러 (11.7%↓)를 기록했다고 최신호 유로저널이 보도했다.
특히, 서방 세계의 교역 규제로 수입이 급감하면서 무역 흑자는 전년 대비 68.3% 증가한 3,32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러시아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주요 수출 품목 증가율 (금액 기준 2021년 대비)로는 니켈 190%↑, 비료 54.3%↑, 화석연료(가스,원유) 42.8%↑, 구리 16.7%↑, 목재 15.2%↑, 식료품 14.8%↑, 철강 8.8%↑를 보였다.
주요 수입 품목 감소율 (금액 기준 2021년 대비)로는 차량 -41.5%, 가구 -32.3%, 귀금속 -28.8%, 가죽제품 -27%, 광석·슬래그 -26%, 유리 -21.5%, 의류 -20.8% 를 나타냈다.
한편, 한국은 우크라이너-러시아 전쟁 발발전(무역 재제 전)에는 러시아가 10 대 교역대상국이었으며,러시아산 에너지 수입 비중은 전체 수입의 무연탄 40.8%,우라늄 33.9%(2.5억 달러),나프타 23.4%(43.8억 달러),유연탄 16.3%,천연가스 6.7%였다.
반면, 러시아로 수출 품목의 기업 수는 화장품 444개사, 기타 플라스틱 239개사,자동차 부품 201개사, 합성수지 137개사, 아연도강판 30 개로 우역 재제이후 이들 수출 기업이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2월 러시아 시장의 승용차 및 경상용차(Light Commercial Vehicle, LCV) 누적 판매량은 4만1천대로서 전년 동기 대비 약 62% 감소했다.
반면, 올해 1-2月 중고차 판매량은 신차 공급이 부족한 가운데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86만여대 기록했고, 향후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방 세계의 러시아 경제 제재에 동참하고 있는 한국의 경우 현대, 기아의 러시아 자동차 시장 합산 점유율은 22.6%에서 17.8%로 감소한 반면 중국 제조사들의 합산 점유율은 17.9%로 전년(6.9%)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관련기사
- 베트남, 2023년 1분기 대외 무역은 전반적으로 흑자 유지
- 러시아, 대인도 석유 공급량 20배 이상 증가
- 독일 운수업계 총파업... 전국 교통 마비
- 사우디, 상하이협력기구 대화 파트너 지위 획득
- 차이잉원 대만 총통 경유지 뉴욕 도착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다음달도 부정적 전망
- 트럼프 불륜 입막음 부정회계 혐의
- 미국 상원 걸프전 등 무력사용 승인 결의
- 미,월 스트리트저널의 모스크바 특파원 스파이 혐의
- 러시아,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60일 연장
- 러시아, 일본해에서 미사일 발사 연습
- 벨로루시, "핵 배치는 미국의 압력"이 원인
- 유라시아 새로운 경제권 탄생... 무역액 크게 증가
- 러시아, 벨라루스에 전술핵 배치
- 우크라이나군 바흐무트서 반전공세 예고
- 러, '달러 패권' 도전... 위안화와 전면 손잡기로
- 中 시진핑, 러시아 푸틴 대통령 정상회담
- 우크라이나 침략전쟁 종식 기대 중-러회담 성명
- 러시아 영공 진입 금지 조치로, 미항공사 연간 20억 달러 손실
- 러시아, 1년 만에 무역 통계 발표 재개
- 튀르키예 국방장관, 흑해 곡물 수출길 유지될 것으로 기대
- 캐나다, 러시아산 알루미늄 및 철강 금수조치
- 인니, 작년 경제지표 '긍정적' 평가 받아... 올해도 약 5~6%의 GDP 성장 달성 전망
- 슬로베니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對러시아 교역 급증
- 11월 1일~20일 수출입 현황, 전년 동기 대비 27.6%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