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배터리 공급망을 국내에 확립해 수출 경쟁력을 높혀
전반기 중국의 신에너지차 수출량은 2.6배 늘어난 전체의 25%를 차지

중국이 2023년 1~6월 자동차 수출에서 처음으로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홈페이지가 7일 보도했다.
1~3월 1분기에 이어 일본을 추월한 것이다.
순수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수출이 전체의 25%를 차지한다.
일·미·유럽 자동차 업체들이 철수하는 러시아 외에도 중국의 유럽 수출이 늘었다.
내수 부진의 배경에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1~6월 자동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한 214만대를 기록했다.
일본자동차공업협회가 발표한 같은 기간 일본 자동차 수출량은 202만 대(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로 중국의 반기 자동차 수출량이 처음으로 일본을 앞질렀다.
중국 수출을 견인하고 있는 것은 순수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다.1~6월 중국의 신에너지차 수출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배 늘어난 전체의 25%를 차지했다.
자동차 업체별로는 상하이 공장을 대아시아 수출기지로 삼고 있는 미국 테슬라가 중국에서 18만 대 이상, 중국 대형업체인 비야디도 8만 대 이상을 해외에 수출했다.
수출 대상 지역별로는 러시아가 가장 많았다.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휘발유차를 포함한 1~5월 수출을 보면 대러시아 수출이 28만7000대로 가장 많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충돌 이후 한국과 일본, 유럽 대기업들은 현지 사업을 대폭 축소했다. 중국 기업들이 이러한 공백을 메우고 있다.
가솔린차 수요가 많은 멕시코 외에도 신에너지차 수요가 늘고 있는 유럽의 운송 거점으로는 벨기에가 앞서 있다. 그만큼 유럽 내 중국 기업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2022년 신차 판매량은 2686만 대로 세계 최고이며 순수 전기차만 536만 대로 가솔린차를 포함한 일본 전체 신차 판매량(420만 대)을 넘어섰다.
미국 앨리 플래티넘은 중국 신차 판매에서 순수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7년에는 39%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 세계 순수 전기차 비율은 2027년 23%에 이를 것으로 예상돼 중국의 보급이 글로벌 수준을 넘어설 전망이다.
순수 전기차 구매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에 힘입은 바가 크다.
2030년에는 중국에서 판매되는 순수 전기차의 65%가 비야디 등 중국 브랜드가 될 전망이다.
신문은 중국 업체들이 순수 전기차의 성능과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리튬이온배터리 공급망을 국내에 확립해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스즈키 도모유키 에어로플래티넘 이사장은 "2025년 이후 중국 자동차업체들이 미국 등 일본의 주요 수출시장에서도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 뚜렷한 하락세… 글로벌 금리 정책 변곡점 맞아
- TSMC, 독일에 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
- [월드e] 中 세계 최초의 전력망급 중력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 연내 합병
- [월드e] 베트남 남북 종단 고속철도 건설 결의
- 중국, 드론 수출통제에도 러시아에 최대 수출
- 영국 부동산 가격, 10년 만에 최고 속도로 하락 중
- 종근당, 올해 전반기 실적개선 뚜렷... 1.5조원 무난 예상
- 비야디, 이스라엘 신에너지 전기차 시장 선점... 7개월 연속 판매 1위
- 중국, 전기배터리 운송 전용 철도 시운전
- 2025년 세계한인비즈니스 대회, 애틀랜타에서 열린다.
- 글로벌 기업 실적, 금융·AI 견인으로 2분기 연속 상승
- 중국, 멕시코 경제 협력 확대… 투자 규모 대폭 증가
- 태국 실업률 증가, 제조업 위축과 경제 변화가 원인
- 트럼프의 관세 위협, 유럽의 거대 자동차 기업들 흔들려
- 중국 자율주행 ‘포니닷AI’, 11월 21일 나스닥에 상장
- [기고] “친중(親中)”머스크는 왜 “반중(反中)”트럼프의 치어리더가 되었을까?
- 도요타, 인증 위반과 중국 시장 경쟁 심화로 반기 순이익 26.4% 감소
- HMM, 2030년까지 23조 5,000억 원 투자 ‘종합물류회사로 도약 목표’
- [기고] 중국, 내수경기 회복을 중시하는 이유
- [기고]인도 모디정부 외교정책을 참고해야
- 중국-아세안 교역, 올해 9.4% 증가…중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로 자리잡은 아세안
- IMF, 세계 경제성장률 "올해와 내년 모두 3.2%" 전망
- 중국 500대 기업공개, 연 매출이 19조원 이상인 기업이 전체 50% 이상을 차지
- 세계무역기구, "세계 상품 무역이 온건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
- [비전 인사이트] 한중 관계, 국제정치 프레임에 묶여 있어
- 구리 가격 다시 1만 달러 고지에
- 美 거액을 지불하여 현지 배터리 제조업체를 지지
- 유럽 최초의 리튬 정제소가 독일에서 생산 시작
- 인도 경제, 더욱 중국 수입에 의존
- 중국산 자동차, 멕시코 시장의 20%를 점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