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과 임금 상승이 중소기업에 직격탄

2025년 상반기 일본의 기업 파산이 급증하며, 인력 부족과 노동 비용 상승이 중소기업에 심각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본 유력 경제지 니혼게이자이신문이 7월 9일 보도한 도쿄 상공조사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부채가 1,000만 엔(약 6만 8천 달러)을 초과한 기업의 파산 건수는 총 4,99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 증가했다.
특히 대기업들의 임금 인상 기조 속에서 중소기업의 인재 유출과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며, 인력난으로 인한 경영 악화가 두드러졌다. 인력 부족을 이유로 파산한 기업은 172곳으로,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파산 기업 중 약 90%는 종업원 수가 10명 미만인 소규모 기업이었으며, 이 중에서도 직원 수 5명 미만 기업이 3,813건으로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이는 일본 중소기업이 구조적으로 인력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소형 기업의 파산이 주를 이루면서 전체 부채 총액은 6,902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으나, 파산 건수 자체는 3년 연속 4,000건을 넘어섰고, 전체 파산 규모는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부채 1억 엔 이하의 소형 파산 비율은 77%에 달하며, 이는 3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번 통계는 일본 경제의 고질적인 인력 부족 문제가 중소기업 생존에 결정적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다시금 드러내며, 향후 노동시장 구조 개혁과 중소기업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관련기사
- [김명수 칼럼] 관세폭탄 시대의 재도래, 한미 협상의 현명한 길을 모색하라
- [김창권 칼럼] 全知的 대통령 시점에서 全知的 국민 시점으로
- [특별기고] 이재명 대통령, "주담대 이자놀이에서 벗어나 투자 확대해야”
- NASA 대규모 사직 사태…예산 삭감에 항의, 미국 우주개발 차질 우려
- 브라질, 빈민가 도시화에 8억 4천만 달러 투입…전국 인프라 개선 본격화
- 폭염이 만든 ‘피서 경제’…일본 소비지형 바꾼 실내 수요 급증
- 미국 관세 충격에 일본 수출 두 달 연속 감소…경제 회복에 경고음
- 일본, 외국인 정책 전담 조직 신설…'질서 있는 공생' 명분 속 규제 강화 시사
- 일본, 유학생 장학금 축소 결정…중국인 비중 확대에 보수 여론 압박
- 일본 제조업체, 인도에 대한 투자 가속화…“세계 제조 중심지로 부상”
- 일본 정부, 경제 평가 ‘악화’로 하향
- 트럼프 대통령, 일본·한국 등 대상 고율 관세 발표…미 증시 급락
- 일본 여성 창업자 절반 이상, 투자자 성희롱 경험… 제도적 보호 목소리 커져
- 일본, 기록적 폭염에 말차 생산 급감
- 인도 대형기업 급증…글로벌 투자자 관심 속 일본 기업 영향력 흔들려
- 가이드 부족에 직면한 일본 관광업, AI·퇴직자 활용으로 돌파구 모색
- 일본, 쌀값 급등에 외식·식품업계 '탈쌀' 가속…라면·우동 소비 확대
- 일본제철, 미국 철강 전격 인수…트럼프 ‘황금주’ 조건 수용
- 일본제철, 미국 아메리칸 스틸 인수 최종 완료
- 일본 반도체 기업, 전력 반도체 투자 전략 조정
- 도요타-다임러, 일본 트럭 사업 통합
- 일본, 외국인 관광객 소비세 면제 폐지 검토
- 일본 정부, 임금 인상 통한 경제 성장 전략 제시
- 일본, 차세대 지열 발전 기술로 아시아 에너지 시장 공략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