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12월 한달 매입액, 2020년 한 해 매입 총액보다 많아
2024년 매입 RP 106조 1,000억 원

한국은행
한국은행

한국은행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유동성 공급을 위해 매입한 환매조건부채권(RP) 총액이 48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금융시장 불안 발생시 RP 매입을 통해 단기 원화 유동성을 공급한다.

금융기관 채권을 매입, 유동성을 공급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해당 채권을 되팔아 유동성을 회수한다.

1월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이 한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한은이 매입한 RP는 106조 1,000억 원에 달했다.

특히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에만 47조원 이상을 사들였다.

자세히 살보면 한은은 지난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58조 5,000억 원의 RP를 매입했다.

이후 12월 47조 6,000억원의 RP를 추가 매입하면서, 총액이 연간 매입액 기준 사상 최대인 106조 1,00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 19가 한창이던 2020년 한 해 동안의 매입 총액인 42조 3,000억 원을 넘어서는 규모다.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는 윤석열 대통령 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 12월 3일 밤 무제한 유동성 공급 방침을 밝혔고, 이튿날 오전 RP를 비(非)정례 매입하겠다고 전했다.

한은은 유동성 공급량 파악 측면에서 상환 후 잔액의 일평균치를 기준으로 활용하는데, 이를 봐도 계엄 사태 여파가 상당했다는게 정일영 의원 측 지적이다.

실제 지난달 RP 잔액 평균은 14조 9,000억원으로, 직전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2020년 6월의 14조 원을 훌쩍 넘어섰다.

정일영 의원은 “내란이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친 것이 코로나 팬데믹보다 크다는 것을 한은이 입증한 셈.”이라며 “윤 대통령이 국가 경제 발목을 부러뜨린 것과 다름없다. 이 사태가 온전히 마무리되기 전까지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