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당시 유동성커버리지비율 완화 조치 정상화
2025년부터 100%로 환원

금융당국이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한시적으로 운영했던 은행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완화 등 각종 금융규제 유연화 조치들을 2025년부터 정상화한다.
지난 11월 29일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는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금융협회 등과 함께 금융규제 유연화 조치 점검 회의를 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에 따라 현재 97.5%로 유지돼온 은행 LCR 규제 비율은 2025년부터 100%로 환원된다.
LCR은 고(高)유동성 자산을 향후 30일간의 순현금 유출액으로 나눈 수치다.
금융위는 지난 2020년 4월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해 이를 100%에서 85%로 낮췄다가 이후 단계적으로 올려왔다.
금융위는 “향후 자금시장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고, 지난 9월 기준 유동성 비율을 비롯한 유연화 조치 대상 규제가 정상 수준을 상회하는 점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금융투자회사의 파생결합증권 헤지(Hedge)자산 내 여전채 편입 비중 한도도 2025년 1월 1일부터 12%에서 8%로 축소된다.
저축은행 예대율(여신 잔액을 수신 잔액으로 나눈 비율) 규제 및 여신전문회사의 원화 유동성 비율 규제는 단계적으로 정상화한다.
저축은행은 예대율 100% 규제를 적용받다가 유예 조치에 따라 110% 규제를 받아왔는데, 내년 상반기에는 105%를 적용해 부분적인 정상화에 나서기로 했다.
여전사 원화 유동성 비율의 경우에도 100%에서 90%로 낮추는 유예 조치가 시행돼 왔는데, 2025년 상반기에는 95%를 적용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 금융위원회, 퇴직연금 운용하는 ‘로보어드바이저’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 증선위, 카카오모빌리티 회계처리기준 위반에 중과실로 판단해‘중징계’ 조치
- 2025년 1분기 전기요금, ㎾h당 5원 유지한 채 동결
- 생산・소비・투자 5개월 만에 동반하락세…‘삼재’(三災)
- [비전 인사이트] 실물경기 크게 위축, 경기부양책이 절실한 시기다
- 독일 기업 부도 급증…2025년 사상 최대 전망
- 금감원, DB금융투자 전수조사…‘랩・신탁’ 돌려막기 검사대상 추가
- 2,200억 에 한양증권 인수 본계약 체결한 KCGI…대주주 적격성 심사 남아
- 대신증권, 종투사 도전…“초대형IB 도전”
- [비전 인사이트] 부동산 신탁사, 경제위기 뇌관 되기 전에 경기부양책 강구 시급
- 토스뱅크-광주은행의 ‘함께대출’, 출시 62일만에 1,500억원 돌파
- 토스뱅크-광주은행, 혁신금융 서비스 ‘함께대출’ 출시
- 푸틴 대통령, "브릭스는 그 누구도 겨냥하지 않는다"…신개발은행 역할 확대 강조
- [월드e] 몽골,핀테크 대출 9,917억 투그릭
- 은행권, 플랫폼과 협력해 고객 확보에 나선다
- 쿠바, 브릭스 가입 신청
- 인도네시아 25년 만에 최악의 디플레이션
- 中 대규모 부양책 강구... 10조위안(1882조원) 쏠 준비 완료
- 美 연준 '빅컷', 중국 대응 방식에 관심 모아져
- 스페인 경제 성장, "예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강해
- 조직개편하는 한국은행…설립 이래 최초 경제통계국 2개국으로 분리
- 한국은행, 12월 1달간 RP 매입에 47조 6,000억 원 투입
- 한은・금융위・금감원, 기관용 CBDC 구축 본격화 ‘2024년 4분기 국민참여 목표’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