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CBDC・디지털자산 구매 개발
삼성전자・코노아이와 협력

지난 11월 11일 카카오페이(Kakao Pay)는 한국은행(이하‘한은’)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이하 ‘CBDC’) 2차 사업’을 완수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앞서 블록체인 기반 CBDC의 기술적 구현 가능성을 점검하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10개월간 2단계의 사업을 수행했다.
카카오페이는 2차 사업 중점 과제 중 ‘오프라인 CBDC’와 ‘디지털자산 구매’를 개발했다.
오프라인 CBDC는 인터넷이나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디지털화폐의 이동을 가능케 할 목적으로 개발됐다.
카카오페이는 송금인과 수취인의 전산기기(모바일기기・IC카드 등)가 모두 통신망에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근거리무선통신(NFC)나 블루투스 등 해당 기기에 탑재된 자체 통신 기능을 통해 CBDC 거래가 가능하도록 지급결제 서비스를 개발했다.
삼성전자, 코나아이와 협업해 거래기기 내 안전한 저장공간(SE)를 활용해 불법 복제나 비정상 거래를 차단을 위한 장치도 마련했다.
‘오프라인 CBDC’는 통신사 장애, 재해 등으로 지급결제 서비스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실물 화폐와 함께 백업 지급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자산 구매’는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CBDC를 활용해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발행된 대체불가토큰(NFT) 등 디지털자산을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이다.
카카오페이는 스마트 계약 기술을 활용해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CBDC와 디지털자산 사이세서 안전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카카오페이는 앞으로도 한국은행의 CBDC 추가 사업을 수행하고 향후 CBDC 상용화를 대비한 관련 기술 경쟁력 강화에 나선단 계획이다.
카카오페이 블록체인TF 이다운 팀장은 “카카오페이가 전 국민 생활 금융 플랫폼으로서 축적한 기술과 사용자경험(UX)을 바탕으로 한국은행 CBDC 사업을 수행했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최신 기술과 편리한 UX가 만나는 금융 시스템의 새로운 미래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로도 카카오페이는 한국은행과 협력하여 보다 안전하고 손쉬운 금융환경을 선보일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한은・금융위・금감원, 기관용 CBDC 구축 본격화 ‘2024년 4분기 국민참여 목표’
- 한국은행, 4월부터 7개 은행 통해 CBDC 실험 참가자 모집 ‘예금토큰, 실효성 있을까?’
- 2024년 하반기 간편결제 패자는 ‘네이버페이’…만족도는 ‘삼성페이’
- 한국은행, 12월 1달간 RP 매입에 47조 6,000억 원 투입
- 조직개편하는 한국은행…설립 이래 최초 경제통계국 2개국으로 분리
- 한국은행, 2회 연속 기준금리 인하 단행…기준금리 3.00%
- 한국은행, 4월 최대 9조 원 규모 통화안정증권 발행
- 한은 기준금리 인하하자, 증권사도 CMA 금리 내려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내렸지만…대출금리는 7%대라고?
- 한국은행, 기준금리 0.25%p 인하‘3년 2개월만에 긴축 풀려’
- 한국은행 73주년 창립기념사, 이창용 총재의 인재론
- 한국-호주, 통화스와프 5년 연장 합의 ‘81억 달러 규모’
- 한국은행, 추석 연휴 앞두고 시중에 현금 4조 2,000억 원 공급
- ‘오픈페이’ 동참하는 빅테크 3사, ‘앱 설치 현황은?’
- [Inside]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1.25%로 인상 ‘5대 은행도 예‧적금 인상’
- 한국은행, 통화정책 유지...금리 0.5% 동결
- "카톡으로 주식거래한다" 카카오페이 증권업 진출 성공
- 한국은행, 기준 금리 1.50% 동결...추가 금리 가능성 있다.
- 한국은행, 기준금리 1.50%로 인하···경제성장률 하락 및 대내외 여건 불확실성 증가 요인
- KT 올레tv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결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