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미채권 보유 규모 2009년 이래 최저

2024년 10월 해외 시장의 미국 국채 보유 규모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대만 왕보(旺報)가 20일 보도했다.
미국 재무부의 국제자본이동보고서(TIC)에 따르면, 10월 해외 보유 미국 국채 규모는 전월의 8조6700억 달러에서 약 8조6000억 달러로 감소했다. 특히 일본과 중국을 포함한 주요 해외 채권자들이 미국 국채 보유를 줄이면서 전반적인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7601억 달러로,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는 전월 대비 119억 달러 줄어든 수치로,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2년 4월 이후 중국의 미 국채 보유는 1조 달러를 밑돌고 있으며, 이번 보고서는 이러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본 또한 미국 국채 보유액을 줄였지만, 여전히 최대 보유국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보유액은 전월 대비 감소한 1조1030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보고서는 미국 국채 보유 감축이 일본과 중국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주요 해외 채권자들에게도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10월에는 영국, 케이맨제도, 캐나다, 벨기에, 스위스 등 10대 해외 채권자 중 7개 국가가 미국 국채 보유량을 줄였다. 이는 9월 일본과 중국만이 감축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미국 국채 보유 감소의 원인으로는 각국의 금리 인상,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미국 채권의 수익률 변동 등이 지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미국 경제와 국제 금융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 태국, 새해 관광산업으로 620억 바트 돌파 기대
- 독일 경제, 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할 전망
- [기고] 한 획의 기적
- 美기술주 강세지속... 증시는 상승세를 보이며 휴일 단축 거래 주간을 시작
- 다우지수는 근소한 상승세를 보여... 50년 만에 가장 긴 10일 연속 하락세 기록
- 연준, 향후 금리 인하에 대한 경고 신호로 美국채 수익률 급증
- 최근 국제 금값의 변동 심해... 하지만 조정국면 진입 예상
- 미국, 2024 회계연도 적자 1조 8,330억 달러로 급증…연방채무 이자 부담이 주요 원인
- 유럽중앙은행 금리 인하 속도 낼 듯
- 美 국채 금리 하락, 금값 상승세
- 전 세계, 특히 중국이 아프리카를 구애하는 이유?
- 美 금융소득 급증으로 빈부격차 확대
-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3년 만에 최저로 하락
- 美 채무, 사상 최고치 재정난 노출
- 중국 올 상반기 수출 강세… 세계 경제 성장에 동력 넣어
- 세계 부채 부담 91조 달러... 각국 국민에게 큰 타격을 줄 것
- 엔-달러 환율 37년 반 만에 최저
- 연준, 금리 그대로 유지... 2024년 한 번만 인하
- 필리핀 4월 부채, 15조 200억 페소 늘어
- 일본 다시 '금리 있는 세계' 복귀... 2023년 말 0.6%대보다 크게 상승
- 중국 보유한 미국 국채, 2009년 이래 최저로 떨어졌다
- 미국 증시 활황으로 아시아증시 동반 상승
- 엔-달러 환율 34년 만에 최저... "일본 정부 개입" 가능성 제기
- 2024년 9월 기준, 외국인 미국 국채 보유액 ‘8조 6,729억 달러’사상 최고치 경신
- 중국 정부, 2020년 9월 미국 국채 보유고 1조 620억 달러 ‘3년 7개월 만에 최저 수준’
- 영국 ‘황실도량형’ 복귀 취소…국민 98.7% 반대해
- 미국 재무부, 수단 군대의 수장이자 사실상 대통령인 압델 파타 알 부르한 장군에게 제재
- 트럼프, 대만 포함 각국에 ‘상호 관세’ 부과
- 미국 부유층, 스위스로 자산 이동 가속화…탈미국화 흐름 본격화
- 중국, 미국 국채 보유량 3위로 하락… 20여 년 만에 영국에 추월당해
박준형 기자
pjh97@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