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 연속 미국 국채 보유량 감소세

중국의 2020년 9월 미국 국채 보유량이 4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2017년 2월 이래 3년 7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 11월 17일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9월 해외자본수지(TIC) 동향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미국채 보유고는 1조 620억 달러(원화 약 1,175조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8월 대비 63억 달러 감소한 수치다.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고는 1조 2,760억 달러로 일본에 이어 2번째로 많다.
각 국가가 안전자산으로 보유하는 미국채 잔고는 2020년 9월 조 710억 달러로 2020년 8월 7조 830억 달러에서 120억 달러 감소해 2개월째 축소했다.
외국의 미국채 투자는 2020년 9월 225억 3,000만 달러 순매수를 나타냈다.
2020년 8월에는 330억 6,000만 달러 순매도로 나타났다.
해외의 미국채 보유잔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로 인한 글로벌 경제적 충격 여파로 2020년 3월에서 2020년 4월에 걸쳐 급감했다가 이후 회복하고 있지만 2020년 2월에 기록한 사상 최대치인 7조 2,300억 달러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 2024년 9월 기준, 외국인 미국 국채 보유액 ‘8조 6,729억 달러’사상 최고치 경신
- 글로벌 외환보유고에서 달러 비중, 30년 만에 최저치 기록
-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상승... 7개월 만에 최고치 경신
- 해외 시장, 미국 국채 보유액 사상 최저치 기록
- 다우지수는 근소한 상승세를 보여... 50년 만에 가장 긴 10일 연속 하락세 기록
- 연준, 향후 금리 인하에 대한 경고 신호로 美국채 수익률 급증
- 최근 국제 금값의 변동 심해... 하지만 조정국면 진입 예상
- 미국, 2024 회계연도 적자 1조 8,330억 달러로 급증…연방채무 이자 부담이 주요 원인
- 유럽중앙은행 금리 인하 속도 낼 듯
- 美 국채 금리 하락, 금값 상승세
- 전 세계, 특히 중국이 아프리카를 구애하는 이유?
- 美 금융소득 급증으로 빈부격차 확대
-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3년 만에 최저로 하락
- 美 채무, 사상 최고치 재정난 노출
- 중국 올 상반기 수출 강세… 세계 경제 성장에 동력 넣어
- 세계 부채 부담 91조 달러... 각국 국민에게 큰 타격을 줄 것
- 엔-달러 환율 37년 반 만에 최저
- 연준, 금리 그대로 유지... 2024년 한 번만 인하
- 필리핀 4월 부채, 15조 200억 페소 늘어
- 일본 다시 '금리 있는 세계' 복귀... 2023년 말 0.6%대보다 크게 상승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