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이후 최저치 기록
중국 경기 회복더디고 미국 원유재고량 충분도 영향 미쳐

국제 유가가 5% 이상 하락했다. 약 2년 만에 가장 크게 떨어진 수치다.
이란이 '즉각 대응'보류 입장을 보이면서 석유시설이 공격당할 거라는 우려가 사라지면서 시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는 배럴당 4달러 가까이 하락하면서 68.61달러를 기록했다.
12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종가도 배럴당 71.42달러로 6.1% 하락했다.
유가가 하루 사이 8% 가까이 폭락했던 지난 2022년 7월 이후 2년 여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이스라엘이 이란을 보복공격하면서 군사시설만 목표로 삼으면서 석유시설 공격을 자제했기 때문이다.
이란은 전세계 석유 공급량 중에 4%를 차지하고 있어 이런 이란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 국제 유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
씨티은행은 "향후 3개월 브렌트유 목표가격을 74→70달러"로 예상했다.
것으로 보고, 먼저 원유 선물에 투자했던 투자자들이 자금을 빼면서 유가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갈등이 불거지자 일부 투자자들은 원유가 배럴 당 100달러가 넘을 가능성을 내다보고 집중 투자를 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동시에 중국 경기가 회복되지 않고, 미국 내 원유 재고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내년까지 원유 수요가 줄면서 가격도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관련기사
- [비전 인사이트] 美대통령, 누가 당선되어도 대중 견제 더욱 고삐죈다.
- 몽골, 2024년을 '지역 발전의 해'로 선포
- 필리핀 前 두테르테 대통령, '마약과의 전쟁' 정당성 주장
- 국제물류협회 주관, "물류인 상생골프대회" 성료
- 세계무역기구, "세계 상품 무역이 온건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
- 세계가 우려하는 이스라엘 이란 공격 브렌트유 80달러 돌파
- 중동 발 정세악화로 유가 급등, 3대지수 일제히 하락
- 아시아개발은행, 베트남의 2024년과 2025년 경제 성장 전망을 각각 6.0%와 6.2%로 유지
- 유가 당분간 보합세 유지
- 글로벌 대형 건설 프로젝트 발주가 중동국가들을 중심으로 확대
- 미국 경기 침체와 중동 전쟁 우려로 원자재 가격 급락
- 사우디, 미국과의 수십 년 된 석유 달러 협정 연장 거부
- 태국, 엘니뇨 현상과 인도의 쌀 수출 제한령 여파로 올 2분기 쌀값 인상 전망
- 호르무즈 해협 '긴장고조'... 브렌트유 선물 가격이 배럴당 92달러선 치솟아
- OPEC,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 중국·인도·미국의 강력한 성장에 힘입어
- [기고] 힐링과 명상의 도구, 경락품세
- 미국 석유 생산량, 정점에 거의 도달
- [월드e] 필리핀 에너지부,“중동 긴장 지속되면 유가 계속 오를 것”
- [기고] 나폴레옹 군대와 유럽제국 군대... 민주당과 국힘의 '결정적 차이'
- [월드e] 스리랑카, 2024년 새로운 지도자 선출
- [기고] 월드클래스 손흥민 선수의 성공 비결과 '상선약수' 철학 실천
- 전 세계 항공업계 수입,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
- IMF, 중동·북아프리카 불확실성 증가... 성장 전망 '하향 조정'
- 국제유가 최저치 기록 후 4% 반등... 단 추가 상승 여력 부족
- 2023년 中국가안전지수는 98.2%... 4년 연속 98% 이상의 높은 수준 유지
- 뉴욕, 혼잡통행료 프로그램 재개 선언
- 이란의 신임 대통령, 모든 국가들과의 균형을 약속
- 이란, 지역적 확대를 원하지 않지만 이스라엘을 "처벌해야 한다"
- 포춘지, "미국 절반의 대형 은행은 리스크 관리 취약" 지적
- 투자자들 신흥시장 주가 긍정 평가... 인도 비중 높일 듯
- 전 세계 군비 지출 급증... 이스라엘, 군비 수출 사상 최대
- 모디 인도 총리, G20서 이스라엘-하마스 갈등 확산우려 표명
-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약 2000만 명 인도 가상화폐 투자자 겨냥...인도 시장 진출
- 인도의 모순된 정책으로 투자자들 문 밖으로
- 이란, 고농축 우라늄 생산 급증
김소진 기자
kwbman@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