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율은 2년 동안 4%를 유지
베트남의 성장세 둔화로 이어질 수 있는 일부 리스크도 지적

아시아개발은행(ADB)은 25일 9월 아시아개발전망(ADO) 보고서를 통해 베트남의 2024년과 2025년 경제성장률을 각각 6.0%와 6.2%로 유지했다. 인플레이션율은 2년 동안 4%를 유지했다.
Shantanu Chakraborty 베트남 주재 아시아은행 수석대표는 "베트남 경제가 전 세계적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2024년 상반기에는 강하게 회복될 것이며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적인 회복은 산업 생산 개선과 강력한 무역 성장의 결과입니다.
산업은 성장의 주요 원동력이 되었으며 베트남의 주요 수출 전자 제품에 대한 외국 시장의 수요 증가는 제조업의 성장을 촉진했습니다. 서비스업 회복과 농업 생산량 안정도 경제 회복을 뒷받침했다.
중동·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등 지정학적 긴장이 유가에 영향을 미쳐 인플레이션이 심화될 수 있지만 베트남의 인플레이션율은 2024년과 2025년 사이에 4%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AIIB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베트남의 성장세 둔화로 이어질 수 있는 일부 리스크도 지적했다. 지정학적 긴장, 보호주의 추세 고조, 11월 미국 대선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무역 파편화로 이어져 수출과 생산활동, 고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등 일부 대형 경제권의 수요가 여전히 약한 상황이다.
김성희 기자 ksh2024@nvp.co.kr
관련기사
- AI, 석유 '가격 인하 장수' 도울 수도
- 반도체 대기업, 중동에 '슈퍼팩토리' 설립 추진
- 세계 피임의 날, 성적 건강을 위한 올바른 콘돔 선택법
- KTV 글로벌 인사이트, 최기일 상지대 교수 출연
- IAEA 자포로제 원전 안전상태 '악화'
- 美 인플레이션 진정 상황 유지... 금리인하는 시기문제
- 미국 경기 침체와 중동 전쟁 우려로 원자재 가격 급락
- 국제유가, 이란 '즉각 대응' 보류 시사에 약 5% 하락... 당분간 유가안정세 전망
- 베트남 후추 수출, 10월 중순까지 10억 달러 돌파…미국이 주요 시장
- 미중 갈등 속 베트남 대미 수출 급증…아세안 지역 2위 기록
- 베트남 참치 수출, 올해 18% 증가…이스라엘, 미국, EU 시장서 두각
- [비전 인사이트]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불투명, 호황기 맞은 글로벌 방산업... "납기가 문제다"
- 호주, 유학생 27만 명 한도 설정
- 광물 수출대국 호주, "배터리 제조대국" 노린다
- 베트남 섬유 의류, 글로벌 시장 확장과 성장세로 440억 달러 수출 목표 도전
- 호주, 16세 이하 소셜미디어 사용 금지 법안 발의… 위반 플랫폼에 대규모 벌금
- 호주, 전자담배 규제 강화
- 러시아 경제 위험 심화… 유가 하락과 재정 압박 경고
- 베트남, 2025년 경제 성장률 8% 달성을 위한 수출 확대 전략
김성희 기자
ksh2024@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