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중심지
패스트 패션에 대해 이처럼 강경한 입장을 취한 첫 번째 국가

앞으로 패스트패션 제조사들이 프랑스에서 의류를 판매할 때 건당 최대 10유로(한화 1만4천 원)의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독일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19일 보도했다.
프랑스 의회가 3월 14일에 논의한 새로운 법안에 대해 이에 대한 규정을 만들었다. 프랑스는 이를 통해 패스트패션을 줄이려고 한다.
유럽 환경청에 따르면 패스트 패션의 붐은 의류 소비의 증가로 이어졌다.
유럽인 1인당 연평균 거의 26킬로그램의 직물을 구입하고 약 11킬로그램을 버린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10%를 패션업계가 책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프랑스는 이제 이를 줄이기를 원한다.
보수 여당인 '지평선' 출신의 앤 세실 비올랑이 이 법의 추진자다. 프랑스 의회 연설에서 그녀는 제안된 법안에 도입되기를 원하는 '징벌적 조치'에 대해 언급했다.
이 법안에 따르면 모든 패스트패션 공급업체는 앞으로 세금을 내야 한다. 내년부터 옷 한 벌에 5유로가 부과되고 2030년에는 구입가의 최대 50%인 10유로로 늘어난다.
이 계획은 국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뒤 상원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 법안이 어떤 공급업체를 포괄할지는 불분명하다.
프랑스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중심이자 패스트 패션에 대해 이처럼 강경한 입장을 취한 첫 번째 국가다.
관련기사
- 인도, 핀테크 대기업 규제로... 투자자들 불안
- 일본 가리비 수출, 중국의 일본 수산물 수입 중단 장기화로 난항 상태
- [월드e] 민주주의의 오아시스로 알려진 몽골, 알권리 보장을 위해 노력
- [월드e] 필리핀,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행복한 나라로 선정
- 브라질, 전국적으로 덥고 건조한 가을시즌 될지도... '엘니뇨형상' 영향
- 태국 상공회의소, 태국 2024년 경제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
- 하나금융그룹, 임직원 참여 ‘사랑 나눔 헌혈 캠페인’ 실시
- 미국 재닛 옐런 재무장관, 부자들에게 '부자세' 부과하는 것을 반대
- 브이엠아이씨, ‘항공컨소시엄’의 수익신탁증권이 혁신금융으로 지정
- 파리 인구, 지난 6년동안 73,000명 감소
- 상파울루시, 제2외국어로 한국어 공식 지정... 시립학교 및 교육기관 한국어 교육 본격화 기대
- 핀란드와 프랑스, 출산율이 최저를 기록
- [비전 인사이트] ‘5·7·5 경제 비전’이 "단순 구호로 그쳐서는 안된다"
- 올해 전 세계 무역 증가 속도가 두 배가 될 전망
- 프랑스, 전기 자동차 산업의 발전 가속화... "향후 3년 간 전기차로 전환" 목표
- 프랑스, 무역 적자 6개월 연속 감소
- 프랑스 전문가들, 어린이 '스마트폰 금지' 촉구
- 유로존, 올 1분기 경제성장률 0.3%
- [신간소개] K사상의 끝판왕 『이것이 개벽이다』 완결본 출간
- 유럽 명품이 여전히 전 세계를 선도...하지만 주가는 여전히 탄력 받지 못해
- 프랑스, '세느강의 세균 오염 심각"
- 홍콩 국제공항, '전 세계에서 가장 바쁜 화물 공항'
- 세계은행, 향후 10년 간 대출액을 700억 달러 늘리겠다고 공언
- 전 세계 10개월째 폭염 기록... 3월 해수면 온도도 '충격'
- [비전 인사이트] 참정권과 1표의 가치... 투표로 심판해야!
- 베트남 '반미', TasteqAtlas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샌드위치 100개 순위 1위 선정
- 전세계 전기차 배터리 금속 값 하락
유정우
seeyou@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