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산업 생산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4% 감소, 두 달 연속 하락추세

유로존의 생산 물가가 하락하면서 인플레이션 문제가 완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럽연합 통계청 유로스타트(Eurostat)는 6월 산업 생산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4% 하락하며 두 달 연속 하락했다고 최신호 유로저널이 전했다.
로이터(Reuter) 통신과 인터뷰한 경제학자들은 5월에 6월 생산 물가 예상치를 1.6% 하락으로 수정한 이후 3.1% 하락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었다. 연초에는 두 자릿수 성장률이 예측된 적도 있었다.
전년 대비 에너지 비용의 급격한 하락으로 역학 관계가 역전되어 생산 물가에 큰 영향을 주었다. 6월에 에너지 가격은 전년도에 비해 16.5% 저렴해졌다. 에너지 비용 부분을 제외하면 산업 생산자 물가는 전년도에 비해 2.5% 상승했다. 5월에는 수치가 3.3%였다.
전문가들은 에너지 비용 하락으로 생산자 물가가 예상보다 더 많이 하락했고, 이러한 상황은 인플레이션이 완화될 가능성을 높인다고 분석했다고 독일 경제지 한델스블랏트(Handelsblatt)가 보도했다.
생산자 물가 지수는 공장 출고 시점, 즉 제품이 추가 가공되거나 시장에 출시되기 전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는 소비자 물가 동향을 파악하는 초기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덧붙였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최근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0.25% 인상했다. 이에 따라 은행이 잉여 자금을 보관하기 위해 중앙은행으로부터 받는 예금 금리는 2000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인 3.75%로 상승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Christine Lagarde) 유럽 중앙은행 총재는 여름 휴가 기간이 끝난 후에도 추가 인상 과정을 밟고 싶지 않다고 언급한 바 있다.
관련기사
- 혈액순환 촉진 해죽순, 다량의 폴리페놀 함유
- [월드e] 베트남-인도, 경제·무역 관계 강화 모색
- 올 들어 7월까지 중·러 무역액 급성장... 전년 동기 대비 36.5% 증가
- 中‘한국행 단체관광' 재개… 한중 교류 확대 전망
- 한미약품, 주가 '훨훨'... 9일 하루에 14.6% 상승
- [월드e] 베트남-한국 청년 교류 강화
- EU, 유전자변형 식품 규제 완화 조짐
- 유로존 인플레이션, 6월말 6.1%로 지속적 하락세
- 불가리아, 내년부터 자국 통화와 유로화 '병행사용' 추진
- 유럽 경제 수치 계속 악화... 2020년 11월 이후 최저 수준
- 일본의 금리 정책, 세계 영향 우려
- 유로존 인플레이션, 6월말 6.1%로 지속적 하락세
- 유럽 중앙은행, 7월에 재차 금리 인상 가능성 언급
- 미 싱크탱크, 130개국에서 디지털 화폐 출시 검토
- 유로통화권, 기술적 경기 침체 진입... 하반기도 '먹구름' 전망
- 유럽 중앙은행, 디지털 유로화 "출시 계획"
- 미-유럽 대도시 오피스텔 공실률 치솟아
- 유럽중앙은행, 그림자 은행 존재로 유로존 금융시스템 위협
- 엔화 '안전통화' 위상 흔들려... 엔화 구매력도 저하 추세
- 아일랜드 중앙은행 총재, “세계 경제 분열, 더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 유발할 것” 경고
- 유럽 증시, 인플레이션 우려로 전반적으로 하락세
- 2022년 전 세계 금 수요, 전년 대비 18% 증가
- EU 중앙은행, 인플레 잡기 초집중… 금리 인상 예고
- 2023년 유럽 경제 전망... 인플레이션과 적자 리스크에 ‘암울'
- 미국, 노동력 부족 심각한 상태
- 옐런 美재무 "연말 유가 다시 뛸 듯…급등은 최대한 억제 "
- 2024년 유럽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예측 어려워
- 유로스타, 브렉시트 국경 검사로 여객 통행 지연... 여권 도장 찍는데 15초 더 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