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기 매출 영업이익, 중국 실적, 신물질 개발 호재 영향

한미약품은 상반기 매출 7039억원, 영업이익 931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제약사 중 지난해 매출 1조원을 넘긴 대기업들이 올해 상반기에도 호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세를 몰아 한미약품은 하반기에도 호실적이 예상되면서 올해 사상 최대 실적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 상위 5개 제약사는 유한양행·녹십자·종근당·한미약품·대웅제약이었다.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 치료제가 심혈관질환에 효과를 나타냈다는 소식에 9일 한미약품이 급등세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어제(8일) 보다 14.61% 오른 32만 5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주가 급등은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것과 같은 계열의 약물이 심혈관질환에 대한 효용성을 입증하면서 비만약 시장에 대한 성장 기대감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한미약품은 견고한 실적을 보이고 있는데, 상반기 매출 7039억원, 영업이익 93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보다 각각 10.3%, 28.6% 늘어난 수치다.
개량·복합신약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북경한미약품의 실적 호조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미약품은 2018년부터 5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매출 1위를 기록 중이다.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은 2분기 원외처방 매출이 전년동기보다 17.9% 늘어난 400억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고혈압 치료제 제품군 아모잘탄패밀리도 5% 성장한 338억원의 실적을 거뒀다.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도 계속 성장세다. 2분기 기준 매출901억원과 영업이익 219억원을 올렸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각각 14.7%, 27.8% 성장했다.
대기업 군 제약사 중 유일하게 그간 이십여년 공들여온 중국 현지법인의 매출과 실적이 견조세를 유지한고 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 中‘한국행 단체관광' 재개… 한중 교류 확대 전망
- 유로존, 인플레이션 완화 조짐... 생산가격 하락세 영향
- 혈액순환 촉진 해죽순, 다량의 폴리페놀 함유
- [월드e] 베트남-한국 청년 교류 강화
- 대만 화폐, 외자 탈출 충격... 이번 분기 아시아 최악의 통화가 되다
- 조사 결과: 미국인 신용카드 빚이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돌파
- 미국-유럽-일본 수요 부진... 글로벌 제조업 강타
- 종근당, 올해 전반기 실적개선 뚜렷... 1.5조원 무난 예상
- 백트, B2C 소비자 앱 운영 멈추고 B2B에 집중 천명
- 유한양행 렉라자, 미국 내 약가 연간 3억 원 책정 ‘경쟁사보다 높다’
- 금감원, DB금융투자 전수조사…‘랩・신탁’ 돌려막기 검사대상 추가
- 한국거래소(KRX), 9개 회원사와 주식 시장조성계약 체결
- 종근당, 국내 제약그룹 최초 대부업 진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