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집트의 공식 인플레이션율은 21.9%
식품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37.9% 상승

이집트 중앙은행이 국제통화기금(IMF) 대출협정의 일환으로 시장 개입에 나선 뒤에도 이날 이집트 파운드화 거래 환율은 지난해 3월의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고 AFP통신이 1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10개월여 만에 50%가 넘는 이집트 파운드화의 평가절하는 아랍권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의 수입식품과 기타 상품가격이 치솟으면서 발생했다.
이집트 중앙은행이 11일 내놓은 이집트 파운드화 환율은 한때 달러당 31.95파운드까지 급락했다가 오후 들어 29.7파운드까지 안정됐다고 이 나라 중앙은행이 밝혔다.
이날 외환시장에서 이집트 파운드화 환율은 달러당 35파운드 안팎을 유지했다.
지난해 2월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으로 전 세계 투자자들이 불안해하고 이집트에서 막대한 자금을 빼내면서 북아프리카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은 밀 가격을 나선형으로 상승시켜 세계 최대 곡물 수입국 중 하나인 이집트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외환보유액에 대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켰다.
전 세계 에너지 가격 상승이 생활유지 비용을 더욱 끌어올리는 가운데 지난해 12월 이집트의 공식 인플레이션율은 21.9%에 달했고 식품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37.9% 상승해 국민의 생계에 더 큰 어려움을 초래했다.
이집트는 최근 몇 년간 국제통화기금(IMF)과 걸프 동맹국의 긴급구호에 의존해 왔다.
신용평가사 무디스에 따르면 인구 1억400만 명의 이집트는 외채 디폴트 위험이 가장 높은 5개 경제국 중 하나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세계은행, 파키스탄 GDP 성장률 전망치 2%로 하향 조정
- 가나, 인플레 54%... 22년 만에 최고치 경신
- 세계 경제 낙관론 힘입어 국제 유가 3% 상승
- 스위스 중앙은행, 116년 사상 최대 적자... 약 177조
- 中 징둥팡(BOE), 베트남에 5억여 위안 투자... 두 곳에 공장설립
- [기고] '초심불망'과 시.군.도의원과 지자체장 복무자세
- 아르헨티나, 인플레 95%... 1991년 이후 최고
- 외환보유액, 3달 연속 감소했음에도 ‘보유액은 세계 9위’
- 러시아 중앙은행, "2008년 세계 경제위기 재현" 경고
- [비전ON] 러시아 중앙은행, 가상화폐 사용 및 암호 채굴 금지 제안
- 러시아-우크라 협상 가능성, 가상화폐 및 주가 상승
- 기재부 ‘해외송금, 증빙 없이 10만달러까지 가능’
- 70년만에 빗장 푸는 한국 외환시장 ‘2024년 하반기 시행 목표’
- 이집트, 미 달러화 의존도 줄이기 위한 새로운 통화지표 개발
- 이집트, 수에즈운하 선박 통과료 인상 추진
- 우크라 전쟁으로 이집트 관광산업 타격... 서유럽과 동아시아로 눈길 돌려
- 무디스, 중국 부동산기업 완커에 ‘투자부적격’ Ba1로 등급 강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