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100시간 초과근무, 1인당 1만달러 체불
일 ㆍ베 상생지원회가 베트남 인턴들 체불 문제 해결 노력

일본 도쿄(東京)신문은 9일 재일 한 베트남 인턴 직원이 피땀 흘리는 공장에서 야근과 임금 체불 등을 당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트남 출신 인턴 11명이 일본 에히메현 세이요시의 한 봉제회사에 접수돼 2019년부터 매달 100시간 이상 잔업을 일삼고 있으며, 1인당 최소 160만엔(약 1600만원)의 임금을 체불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후생노동성은 의료용 방호복 생산 공장을 공개 모집했는데, 이 회사도 한때 임금이 체불된 제조업체 중 하나였다.
11명이 체불된 임금 총액은 최소 1760만엔이다.
인턴은 지난 9월 도쿄에 있는 '일ㆍ베 상생 지원회'를 찾아 상담을 진행했다.
이 후원회의 신고를 받고 외국인 기능실습 기관과 근로기준감독서가 조사를 벌이거나 관련 기업에 행정처분을 내렸다.
해당 봉제업체 관계자는 인터뷰에서 인턴 직원의 초과근무와 임금체불 문제를 인정하고 "체불된 임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관계자는 "해외 제품과의 경쟁이 치열하고 국내 의류 제조 공임이 낮아 경영이 어렵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베트남 국적 인턴 직원 11명은 20~49세 여성으로 2019~2020년 일본으로 건너가 이 봉제회사에 다니며 재봉틀을 이용해 여성복 등을 생산하고 있다.
출근 기록을 보면 이들은 평일 출근시간 전과 퇴근시간 이후 야근을 하고 주말과 휴일에도 자주 출근했다.
2021년 1월부터 3월까지 의료용 보호복을 생산하는 동안 월평균 초과 근무 시간은 약 150시간이다.
관련기사
- 독일 주요기업들, 경기가 '역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고 우려
- 글로벌 공급망, 내년 3월 전면 정상화 전망
- 서울 근교 당일치기 단풍 구경, 남이섬이 딱이야
- 인도, 올 경제성장률 7% 전망... 경제규모 세계 5위 등극, 영국 앞질러
- 中 신에너지 승용차 판매 호조... 지난달만 61만대 판매
- 美 공유산업 주가 급락...정규직 전환 따른고용비 증가 영향
- 乌克兰驻韩大使访问WORLD K-POP CENTER
- 베트남 비료 가격 급등... 원자재 가격 과 글로벌 공급망 혼란 원인
- 공공기관 5년간 165억 원 임금 체불…근로자 1명당 236만원 꼴
- 베트남, 일본 참치 수출 급증… 가공 참치 품목 성장 주도
- 해외 기술유출 사례가 급증추세... 약 75%가 중국
- 베트남 참치 수출, 10월 기록적 성장세…연간 10억 달러 돌파 전망
- 미 재무부, 베트남 비 환율조작국 확정
- 베트남 섬유 의류, 글로벌 시장 확장과 성장세로 440억 달러 수출 목표 도전
- 베트남, 10월 수출입액 전년 대비 11% 증가…무역 흑자 233억 달러
- 폭스콘 산하 순신베트남, 베이장성에 전자부품 생산공장 설립…연 450만 개 생산 목표
- 베트남 수산물 수출, 10월에 10억 달러 돌파…주요 시장 수요 급증
- 베트남 첨단 제조업으로 외자 유입 증가, 부동산 시장도 활력
- 국제 쌀값 폭락,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 인도 수출 규제 완화 영향
- 베트남, 2045년까지 고소득 국가 목표…국제 과학 심포지엄에서 논의
- 베트남 커피 수출, 2023/2024년 사상 최대 54억 3천만 달러 돌파
- 말레이시아 총리, 아세안-일본·한 정상회의에서 디지털 협력 및 평화 이니셔티브 강조
- 세계무역기구, "세계 상품 무역이 온건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
- 일-아세안 탈탄소 협력 강화
- 외자가 베트남 남부 부동산 시장에 대량으로 유입
- 베트남, 외국의 방직 의류 기업의 투자처 되어
- 인도네시아, CPTPP가 수출시장 확대 도움 희망
- 일본, 베트남 증시 투명성 제고 협조
- 필리핀 상원, "한국과의 FTA 조만간 승인" 예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