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ㆍ식품 등 생활필수품 가격 급등이 주원인
우크라 사태 이후 연 평균 증가율의 6배 증가

영국이 세대 이래 최악의 가계예산 압박에 직면한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생활기준을 유지하는 비용이 20% 증가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일(현지시간)보도했다.
러프버러대 연구진은 2009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의 약 6배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골드만삭스는 가스 가격이 떨어지지 않으면 내년에 인플레이션이 20% 이상으로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소득보다 물가가 더 빠르게 오르면서 사회보장제도의 근본적 개혁이 이뤄지지 않으면 더 많은 가구가 그들의 삶을 영위할 수 없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일부 주민은 연구원과 함께 최소한의 예산 기준을 정해 생필품을 공급받고 의료비 지급부터 친구·가족 생일 선물 준비까지 사회생활에 어느 정도 관여해야 할 정도이다.
이들은 2022년 4월 한 근로연령자가 연간 2만5500파운드(약 4100만원)를 벌어야 납득할 만한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국민 생활임금으로 풀타임으로 일해서 버는 돈보다 37%나 많다고 신문은 전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선순위가 달라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에너지·식품 등 필수품 지출이 더 빈곤층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크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 독일, 대러 제재 민생 영향... 국민들 정부 만족도 최악
- [Inside] 중국-태국 고속철 사업, 아세안의 상호 연결 추진
- 소식통 "샤오미의 첫 번째 차 판매 가격이 30만 위안을 초과할 듯"
- 유로존 8월 물가 상승률, 유로화 등장 이래 최고 수준
- 전문가들, “인도, 2030년까지 세계 3위 경제대국될 것”
- 젤렌스키 우크라 대통령, 유럽 향해 “겨울을 대비하라” 경고
- [기고] (주)정석케미칼 김용현대표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실천
- 코알라 커뮤니티, 올해 상장 예정 Music& MINT 에어드랍 진행
- 전 세계의 주택 부족, 이민에 의해 추진되는 경제 성장을 억제
- 호주, 국제학생 비자료 대폭 인상 추진... 2500달러에는 미치지 못할 것
- 영국, 지정학적 리스크로 G7 국가 중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 전망
- 영국 통계청 공식 데이터 발표, "영국 경제, 경기 침체에 진입"
- 영국 번화가, 술집과 중소기업 수 급락으로 '존패' 직면
- 일본, '디지털 노마드 정책' 실행... '인구 감소'에 대응
- 英, 연간 1620억 유로 손실... 생산량이 6% 감소
- 영국 고용시장, 높은 임금 증가율로 둔화 조짐
- [월드e] 해외 거주 몽골인들, 연간 평균 1990만 투구릭을 가족에게 송금
- 유럽, 올 크리스마스 쇼핑 시즌 매출 부진
- 영국의 생활비 위기로 조기 사망 증가
- 英 휘발유차 판매 금지령 5년간 유예... 2035년으로 연기
- 영국 부동산 가격, 10년 만에 최고 속도로 하락 중
- 아시아 노동 이민자, 코로나 이후 다시 활발
- 中부자 태국으로 이주 증가... 싱가포르 국제학교 입학 대폭 증가
- 영국의 집값, 1년전과 대비해 11년 만에 첫 하락
- IMF "영국 경제, '기술적 경기 침체 '벗어나' "
- 영국 일부 단체, 부유층의 대한 세금 2% 증세 촉구
- 영국, 생활비 상승에 적극 대응... 기본 식품 가격을 제한
- 英, 식품값에 이어 공공 요금 줄 인상
유정우
seeyou@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