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략적 제휴 통해 中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 "단순 판매 채널 확보 넘어선 브랜드 가치 제고 극대화"

화장품 전문기업 제이준코스메틱은 최근 중국 지방 정부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중국 최대 이커머스사인 징둥닷컴(JD.com)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이준코스메틱의 단순한 온라인 입점을 넘어 신제품 개발부터 판매, 마케팅 등 전방위적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JD.com은 지난해 기준 약 215조원(추정)의 매출을 기록하며 중국을 대표하는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다. 최근 '신제품 성장 이니셔티브(New Product Growth Initiative)'를 통해 연간 수십억 위안의 투자를 기반으로 신제품 판매 및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600여 개의 연매출 1억 위안(약 18억원) 이상에 달하는 신제품 개발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이에 제이준코스메틱은 JD.com의 신제품 채널(JD New Products)을 통해 신제품 및 기존 제품 라인업의 노출을 극대화 한다는 방침이다. 온·오프라인 통합 마케팅과 소셜커머스, 이벤트 등 다양한 채널을 유기적으로 활용해 중국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손상훈 제이준코스메틱 대표는 "JD.com과의 전략적 제휴는 단순한 판매 채널 확보를 넘어 브랜드 가치 제고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소비자 신뢰를 바탕으로 신제품 개발과 마케팅을 통해 글로벌 뷰티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이준코스메틱은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중국 마스크팩 부문 '올해의 브랜드 대상' 1위를 수상하며 중국 소비자들의 높은 신뢰를 받고 있다. 또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 티몰(Tmall) 글로벌 브랜드 시상식에서도 연속 수상하는 영예를 누렸다.
관련기사
- [기고] ‘3대 특검법’ 재가, 이재명 대통령의 위험한 승부수!
- 일본, 외국인 관광객 소비세 면제 폐지 검토
-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도 둔화…"美 제조업 회귀 한계, 베트남·멕시코 수혜"
- 미 항공업계, 트럼프 정부의 항공기 부품 관세 제안에 강력 반발
- 아마존, 美 펜실베이니아에 200억 달러 투자
- 중미 무역 긴장 속 PC·스마트폰, 관세 리스크에 가장 취약한 IT 품목으로 부상
- 아마존, 노스캐롤리아주에 100억 달러 투자해 AI데이터센터 추가로 짓는다
- 중국 저가 전자상거래, 호주 인플레이션 완화에 '희망의 변수'로 부상
- 중국 '쌍11' 16년, 올해는 어떻게 다른가?
- 중국 전자상거래, 618 쇼핑 축제 성적 기대 넘어
- 中 2023년 솽스이(雙十一)행사기간 온라인 매출 2.1%↑
- 농촌진흥청, '종자전쟁'과 "애그테크 산실"이 되어야
- 포춘 발표, 2023년 글로벌 500대 기업에 미국이 최다 재탈환
- 중국 글로벌 대기업, 차세대 "과학 기술 패권' 다툼에 뛰어들어
- 中 징둥팡(BOE), 베트남에 5억여 위안 투자... 두 곳에 공장설립
- 美 회계감독위, 中 회계법인 상대로 사상 첫 감독권 행사
- 시진핑 3기 출범, '공동부유론' 정책기조 전망
- 중국 매체, "펠로시, 중국에서 돈 벌면서 반중 행위" 비판
- [중국망] 주식 이슈 종목 (2022년 7월 12일)
- [중국망] 주식 이슈 종목 (2022년 7월 11일)
- [중국망] 주식 이슈 종목 (2022년 6월 21일)
- 중국개념주, 미국 장중 급등...알리바바·징둥·바이두 '훨훨'
- 뤼트케 쇼피파이 CEO, 코인베이스 이사회 합류
- 징동닷컴, 쇼피파이와 손잡아... 북미 브랜드 中서 판매에 물류등 지원
- 디디 ‘도미노’…美 상장 中 테마주 동반 폭락
- [월드e] 베트남, 광군제 전자상거래 매출 폭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