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을 겨냥해 다시 한 번 무역 전선을 확대했다. 그는 5월 23일(금) 소셜미디어를 통해 EU와의 협상이 “전혀 진전이 없다”고 주장하며, 오는 6월 1일부터 EU 수입품에 대해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는 애플에 대해서도 경고장을 날렸다.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제품에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이다. 이같은 발언이 나온 직후, 애플 주가는 약 4% 하락했다. 다만 대통령이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직접 관세를 부과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한편, 같은 날 캐나다 밴프에서 폐막한 G7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트럼프의 강경한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회원국들이 경제 안정과 성장을 위한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 공동성명은 직접적인 관세 언급을 피했지만,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있으며, 회원국들은 지속적인 진전을 위해 협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담았다.

회의 주재국인 캐나다의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재무장관은 “관세는 명백히 논의가 필요한 주제였으며, 모든 참가국은 성장을 위한 공조의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그는 공동성명이 “G7의 목표와 행동이 일치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동성명은 특정국을 지목하진 않았지만, “국제 공급망의 회복력을 높이고, 단일 공급처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공정한 경쟁 환경의 중요성”을 명확히 하며, 규칙을 지키지 않거나 투명성이 부족한 국가에 대해서는 공동 대응을 예고했다.

소액 국제 소포의 급증이 세관과 세금 체계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일부는 마약 및 불법 물품 밀수에 악용되고 있다는 우려도 표명됐다. 이는 최근 미국과 G7 회원국들이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Temu와 Shein이 면세 혜택을 활용해 과도한 저가 상품을 수출한다고 비판하는 배경과도 연결된다.

러시아에 대한 제재 문제도 논의됐다. G7 재무장관들은 성명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하게 규탄하며, 휴전 협상이 실패할 경우 더 강도 높은 제재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쟁을 지원한 국가가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과정에서 이익을 얻는 것을 방지하겠다는 방침도 명시했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의 제프리 마이얼즈 선임연구원은 “이번 성명은 6월 열릴 G7 정상회의의 방향성을 제시한 긍정적 신호”라고 평가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