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아메리카 한류 열풍 다시 한 번 입증

브라질의 대표적인 지상파 방송사들이 잇따라 한국 드라마(K-드라마)를 전면 편성하며, 라틴아메리카 전역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브라질 최대 민영 방송사 TV 글로부(Rede Globo)는 지난 5월 5일 오후 3시 25분, 대표적인 오후 프로그램 ‘(Sessão da Tarde)’를 통해 K-드라마 ‘이로운 사기’(원제: Doce Engano)F 1,2화를 묶어 신즌형식으로 첫 방영했다.
이 작품은 천우희, 김동욱, 윤박 주연으로, 법정 드라마와 복수극이 결합된 강렬한 서사로 브라질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뒤이어 브라질 2위 방송사인 SBT도 오는 6월 2일부터 오후 4시 45분부터 SBS의 인기작 ‘별에서 온 그대’(My Love From the Star)를 정규 편성한다고 밝혔다.
도민준(김수현)과 천송이(전지현)의 이색 로맨스를 그린 이 작품은 2013년 첫 방송 이래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로맨스와 SF 요소가 결합된 K-드라마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국내 한류 팬들 사이에서는 이번 브라질 방송사들의 행보를 두고 “콧대 높은 방송국들의 항복 선언”, “이제 K-드라마는 세계의 황금 시간대 콘텐츠”, “한류는 더 이상 ‘열풍’이 아니라 ‘표준’”이라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활동 중인 한 K-드라마 팬클럽 대표는 “브라질은 오랫동안 자국 콘텐츠에 자부심이 큰 나라였는데, 이제는 한류 콘텐츠를 메인 시간대에 편성하는 걸 보니 감회가 새롭다”며 “이제는 한국 드라마가 글로벌 시장의 중심에 확실히 올라섰다는 것을 체감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번 브라질 지상파 방송의 K-드라마 편성이 단순한 콘텐츠 수입을 넘어 한국 대중문화가 주요 미디어 산업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했다. 또한, 브라질 현지에서의 반응에 따라 추가적인 K-콘텐츠 유입도 기대된다는 전망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 관계자는 “이번 편성은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한류 콘텐츠의 지속 가능성과 품질을 반영한 결과”라며, “K-드라마의 현지화 전략과 함께 OST, 패션, 음식 등 다양한 K-컬처의 확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특별 기고] 단일화는 끝났다! — 김문수와 이준석, 보수의 갈라진 거울
- 데이원컴퍼니, 실무형 ‘AI 아웃소싱’ 서비스 런칭
- 부산TP, 미래차 부품기업 기술 지원 지역 참여사 모집
- 트럼프, EU 제품에 50% 관세 경고…G7은 무역 갈등 속 ‘공조’ 강조
- 중국 저가 전자상거래, 호주 인플레이션 완화에 '희망의 변수'로 부상
- 덴마크, 2040년까지 정년 70세로
- 베트남, 브릭스 파트너국으로 공식 가입
- 신흥시장으로 자금 회귀…트럼프 관세 정책 이후 투자 흐름 변화
- 브라질 닭고기 금지령, 필리핀 닭고기 부족 및 가격 급등 사태 예상
- 엔에스이엔엠, FMC 만찬회서 걸그룹 '어블룸' 글로벌 비전 선포…북미 진출 기대감 고조
- 중국, 브라질 대두 수입 제한 해제... 룰라 대통령 국빈 방중 앞두고 무역관계 회복 신호
- 엘니뇨로 인한 코코아 생산 감소, 초콜릿 가격 급등 이어질 전망
- 필리핀 육류 수입 2개월 만에 33% 증가
- 브라질 소매 판매, 2월에 0.5% 증가...최고치 기록
- 브라질, 3월 미국에 계란 수출 346% 급증
- 브라질 한복판에 뜬 ‘K-드라마 사랑 고백’ 간판... 넷플릭스 특별 행사에 한국문화원장도 동
- 글로벌 중앙은행, 미 국채 대규모 매도
- 인도네시아, 브릭스 신개발은행 회원국 가입 결정
- 브라질 중앙은행, 기준금리 14.25%로 인상…9년 만에 최고치
- 중국 자동차, 신흥시장 장악… 트럼프의 장벽에도 세계로 확산
- 아시아 통화 평가절하 추세 완화… 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 트럼프 대통령, '상호 관세' 부과 결정... 유럽과 무역 긴장 고조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도입…EU, 보복 관세로 맞대응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 선언
- 중국, 위생 기준 미달로 브라질 5개 기업의 대두 수입 중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