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

브라질의 대미 계란 수출이 급증하며 새로운 무역 흐름이 형성되고 있다. 에페통신이 4월 8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브라질 동물단백질협회(ABPA)는 미국의 계란 수요 급증에 따라 브라질이 3월 한 달간 미국에 2,705톤의 계란을 수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346.4% 증가한 수치다.
3월 브라질의 전체 계란 수출량은 3,77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2.2% 급증했으며, 이 가운데 대미 수출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로써 미국은 사상 처음으로 브라질 계란의 최대 해외 수입국으로 자리잡았다.
미국은 계란 가격 급등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1월부터 브라질산 계란 수입을 승인했으나, 이 계란들은 현재까지 인간 식품 가공에만 사용되며, 일반 슈퍼마켓에서는 판매되지 않는다. 주요 원인은 미국 내 조류독감 확산으로 인한 공급 부족이다.
브라질 동물단백질협회 회장 리카르도 산틴은 성명을 통해 "계란 수출 증대가 국내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전체 생산량의 약 1%에 불과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흥미롭게도 이번 수출 급증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도입한 최저기준관세(Minimum Tariff Threshold)가 본격 시행되기 직전에 발생했다. 해당 조치는 브라질을 포함한 외국산 제품에 최소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으로, 향후 브라질의 대미 수출 흐름에 변수가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재 미국 내 계란 가격은 계속해서 상승 중이며, 그 원인으로는 공급 부족 외에도 유통망 불안정과 생산비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번 브라질산 계란 수입 확대는 미국 식품 가공업계의 한숨을 덜어줄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 도이체방크 "미중 대치, 철저한 금융 전쟁으로 비화 가능성
- 사상 최저치 기록한 인도네시아 루피아… 중앙은행 “시장 전방위 개입으로 환율 안정 나설 것”
- 제이준코스메틱, 기능성 클린 뷰티 브랜드 '지니에이치' 론칭
- 태국, 고령화 사회 진입 속 요양 산업 급성장…외국인 수요도 증가세
- 제12차 아세안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지역 경제 회복력 강조하며 폐막
- 인도네시아 부호들, 경제 불안 우려 속 자산 해외 이전 가속화
- 브라질 지상파 방송사들, 잇따라 한국 드라마(K-드라마)편성 추세
- 미국 식품산업의 격변 예고…케네디 장관의 규제 정책, 논란 속 진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