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치는 2.9%
금리를 4.5%로 낮춘 영란은행의 조치가 영향을 끼쳐

영국 통계청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월 영국의 인플레이션율은 2.8%로 소폭 하락하여 애널리스트의 예상치인 2.9%를 약간 밑돌았다고 26일 미국 CNBC가 보도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료품, 주류, 담배 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1월의 3.7%에서 2월에 3.5% 상승했다.
ONS는 보도 자료를 통해 인플레이션율의 월간 변동에 가장 큰 하락 기여를 한 것은 의류라고 밝혔다.
25일 국가통계청(ONS)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영국의 2월 인플레이션율은 2.8%로 소폭 하락하여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약간 밑돌았다.
로이터가 조사한 경제학자들은 물가지수가 2.9%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플레이션율은 12월에 예상보다 낮은 2.5%로 떨어진 후 1월에 3%로 급격히 상승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료품, 주류, 담배 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1월의 3.7%에서 2월에 3.5% 상승했다.
“2025년 2월까지의 금리 둔화에는 4개 부문의 하향 기여도와 5개 부문의 상향 기여도가 반영되었다.
의류 및 신발, 주거 및 가사 서비스, 레크리에이션 및 문화 분야에서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라고 기관은 말했다.
발표 후 달러 대비 0.1% 하락하여 1.2925를 기록했다.
영국 경제가 글로벌 무역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관세 가능성,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전망, 국내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지난주 통화정책 회의에서 금리를 4.5%로 낮춘 영란은행의 최신 데이터는 고려할 만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세계보건기구, 필리핀 정부에 결핵예방 관련 단호한 조치 촉구
- 베트남, 뉴질랜드의 전략적 수출시장으로 부상…과일 수출 확대에 주목
- 미국행 아시아발 해상운송, 2월 기준 사상 최고
- [정치IN] 지도자가 새겨야 할 덕목, "물극필반(物極必反)과 기만즉경(器滿則傾)"
- [기고] 해처럼, 물처럼, 바람처럼
- [건강IN] 식품가격 인상, 장기적으로 국민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 끼쳐
- 한국방위산업연구소 'K-방산 브리프' 전문도서 출간
- SAP, 유럽 시가총액 1위 등극…노보 노디스크 제쳐
- 이탈리아, 세계 최초 AI 생성 신문 출간
- [사설]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앞으로는 남지만 뒤로 밑지는 장사" 우려
- 페루 아마존 이탄지, 금광 채굴로 심각한 파괴 진행
- 반도체 시장, 인공지능(AI) 칩 수요 급증으로 역대 최고 실적 기록
- 미국 대선 이후 영국과 아일랜드 시민권 신청 급증
- 말레이시아, 영국 ARM 홀딩스와 전략적 협력 협약 체결
- 필리핀 이민국, 2024년 1,470만 명 국제 방문객 입국
- 미국 증시 급락, 경제 지표 부진과 안전자산 선호 증가 영향
- 영국 1월 인플레이션율 10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 노동당 정부에 타격
- 주식시장에 자금 유입 다시 활발… 글로벌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 [기고] 오늘 어떻게 살것인가?... ''눈물 나도록살아라(Live to the point of tears.)
- 동아시아미래재단, "대한민국의 미래전략" 특별 강연
- 소프트뱅크, AI 인프라 투자 강화
- 일본, 인도 유학생 유치 강화… 첨단 분야 인재 확보 목표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도입…EU, 보복 관세로 맞대응
- 일본 IT 투자 증가에도 불구, 생산성 저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 선언
- 영국 옥스퍼드 경제연구소, "2025년 세계 경제, 무역전쟁에도 완만한 성장"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