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을 넘어 이산화탄소를 운반하고 저장하는 규칙을 제정
송전망이 구축되면 전력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전력의 대부분을 석탄과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화력발전에 의존

사진=뉴시스제공.
사진=뉴시스제공.

일본 정부는 아세안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와 전력소비지를 연결하는 광역 송전망 구축을 지원해 탈탄소화를 촉진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6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우선 인도네시아 도서지역 사업에 참여하는 간사이 전력에 재정 지원을 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5일 게이단렌에서 열리는 '아시아 비즈니스 서밋'에서 연설했다. 11개국으로 구성된 아시아 배출가스 제로 공동체(AZEC)를 제안해 향후 10년을 향한 협력 계획을 밝혔다.

전력 수송 공업 등 부문별 행동지침을 마련해 올가을 라오스에서 열리는 제2차 AZEC 정상회의에서 합의하는 것이 목표다.

전력 부문의 주요 조치는 재생 에너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송전망을 강화하는 것이다. 풍력이나 지열 같은 재생에너지 발전소 대부분은 전력의 주요 소비처인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지역을 가로지르는 송전망이 구축되면 전력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국제에너지기구는 아세안 지역 송전망을 강화하려면 2030년까지 연간 1조6000억 엔(약 100억 달러) 이상, 2050년까지 연간 3조2000억 엔 이상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일본 정부는 시장 전망이 밝다는 점에서 일본 기업의 아세안 시장 진출을 위한 포석도 조속히 마련할 방침이다.

인도네시아는 약 2000개 섬에 사람이 살고 있는 만큼 섬 간 송전설비 개발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인도네시아는 민간 자본이 참여하는 사업을 검토 중이며 간사이전력은 관련 조사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일본 정부는 간사이 전력에 소요 비용의 2분의 1을 보조금으로 지급한다.

이와 관련 송전제어시스템 기술을 활용해 인도네시아 칼리만탄주 섬에서 재생에너지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그 프로젝트에 보조금을 제공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는 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한 섬이 적지 않고, 수도 자카르타가 위치한 자바섬에 전력 수요가 집중돼 있어 섬과 섬을 연결하는 송전망 구축이 필요하다. 섬이 수백~수천㎞ 떨어져 있어 해저케이블을 설치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든다.

다수의 아세안 국가들은 2050년 또는 2060년 온실가스 순 배출 제로 달성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전력의 대부분을 석탄과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화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아세안은 1997년 '아세안 전력망(APG)' 구상을 내놨다.태국과 라오스 간 전력망 상호 연결에도 불구하고 섬이 많은 남부 지역에서는 전력망 구축이 거의 진척되지 않고 있다. 일본 정부는 APG 구상대로 제대로 진척되지 않는 지역에 중점 지원한다.

규슈와 홋카이도 등 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한 곳이 많아 규슈, 홋카이도 등지와 혼슈를 잇는 송전망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전력 광역운영추진기구의 계획에 따르면 일본은 2050년까지 원전 11~13기에 해당하는 발전 능력을 증강할 계획이며, 총 투자액은 6조~7조엔에 이를 전망이다.

탈탄소화에 없어서는 안 될 송전망 건설은 각국이 직면한 공통 과제이며, 일본은 아세안에 경험과 기술을 공유할 수 있다.

일본은 아세안의 광역 송전망 건설에 협조하고 있으며, 전력 인프라는 각국 국민의 생활과 산업에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에너지는 각국의 안전보장과 직결되는 만큼 일본이 에너지 분야에서 아세안을 지원하는 것은 이 지역에서 자신들의 발언권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

전력망을 구축하는 것 외에도 각국은 국경을 넘어 이산화탄소를 운반하고 저장하는 규칙을 제정할 것이다.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측정 및 평가 방법에 대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일본 금속 및 에너지 안보 기구는 가이드라인 제정을 검토할 것입니다.

운송 부문 협력은 지속 가능한 항공연료 공급망 구축 위주로 이뤄진다. 산업 분야에서는 일본계 기업이 있는 공단에 재생에너지를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일본 정부는 보조금 지급 등을 통해 10여 개 사업을 추진한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