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은 지역 LNG 확장의 선두 주자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지역은 석탄 화력발전소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량을 크게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동남아 국가들이 최근 몇 년 동안 추진해온 녹색 에너지 전환을 위협할 것이라고 연합조보 29일 보도했다.
미국 비정부기구(NGO)인 글로벌에너지모니터(Global Energy Monitor)가 목요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 국가들은 가스확장 계획에 22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으로 이 지역의 석탄 산업발전 능력을 현재의 두 배인 100기가와트 이상 늘리고 LNG 수입도 8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중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은 지역 LNG 확장의 선두 주자다.
보고서는 베트남에서만 개발 중인 천연가스 발전량이 44기가와트에 달하고, LNG 수입량은 연간 1210t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동남아시아의 가스 인프라는 대부분 아직 시공 단계에 진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재생 가능한 자원과 지역 전력망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투자 방향을 바꿀 시간이 남아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시아는 실제로 2030년까지 예상되는 에너지 수요 증가량의 거의 3분의 2를 충족할 수 있는 충분한 대규모 태양 에너지 및 풍력 발전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남아시아의 재생에너지는 고르지 않게 분포되어 있으며, 모든 국가가 풍력이나 태양에너지를 이용하기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지역 전력망 인프라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또 다른 장애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대체에너지보다 더 매력적으로 만든다.
지역 전력망 인프라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또 다른 장애물로 지적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대체에너지보다 더 매력적으로 만든다.
관련기사
- 미국 경제보고서, "경기 확장 계속돼도 물가 상승은 미온적일 것"
- 태국, 브릭스 가입 신청... 동남아 첫 회원국이 된다
- 중국, 60억 위안 규모 전고체 배터리 R&D 지원금 조성
- 현초 이호영 '서화동원(書畵同源)'소품전, 청목미술관에서 개최 중
- 동아제약, 제13회 사랑나눔바자회 성황리 종료
- 미국, 서방의 제재에도 러시아 원자재 수입 크게 증가
- 인도네시아, 석탄 감축 약속에도 석탄 발전소 확충... "석탄 포기 어렵다"
- 러시아, 베트남 원전 개발 돕겠다고 발표
- 동남아 데이터센터 투자 열풍
- 인도네시아, 아세안 에너지 전환 협력 추진
- 벤처협회 대경지회, ‘벤처기업 재도약 워크샵’ 개최하여 기업간 수출계약 성사
- 일본, 청정에너지 전환 확대 위해 인도 지원
- 일본, 청정에너지 전환 확대 위해 인도 지원
- [Inside] 미국, 동남아 4개국에 대한 태양 전지판 관세 면제
- 미쓰비시 UFJ, 동남아시아 탈탄소화 지원 계획
- [월드e] 베트남, 전력 용량... 아세안 1위
- [통상이슈] 쿠웨이트 석유장관, 원유 증산 합의 재검토 시사
- 현대자동차·그랩, 싱가포르 전기차 활용 공유경제 서비스 진출
- 효성, 조현준의 글로벌 대장정
- 두산중공업, 물과 불과 바람의 승부
- 동남아 신흥국에 공 들이는 최태원 SK 회장...경영진과 말레이시아 현지서 전략회의 개최
- SK가스, 동남아 최초 LPG 탱크터미널 준공...보팍(Vopak)과 싱가포르 LPG 탱크터미널 준공식개최
- 대우건설, 1분기 영업이익 626억원... 당기손익은 185억 적자전환
- KT, 아이앤씨테크·이노와이어리스 등 협력 중소기업 아태지역 최대 규모 박람회 참가 지원
- 베트남, WEC의 정식 회원 가입... 제 26회 세계에너지협의 처음 참석
- 베트남, 2025~2035년 석탄 수입량 대폭 늘 듯
- 인도, 거액의 보조금 지급... '전력망용 배터리'를 제조하도록 장려
- 동남아 중앙은행 달러 급등에 '비정상적 방식의 긴축' 대응
- 베트남-인도 경제무역 협력, 2024년 새로운 도약 기대
- 태국, 미국 관세 충격에 대비해 디지털 지갑 예산 전용…베트남은 대미 협력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