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몆년간 석탄소비량 두배 증가, 전기 생산용 활용
2035년까지는 석탄수입량 약 5000여만톤 예상

베트남 공업무역부가 최근 내놓은 베트남 석탄 공업 발전 전략 초안에 따르면 베트남의 석탄 수입량은 국내 생산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베트남은 2025 부터 2035년 까지 연간 약 5000만8300만 t의 석탄을 수입하고 2045년에는 약 3200만3500만 t의 석탄을 수입하게 된다.
공업무역부에 따르면 석탄업계는 현재 베트남 석탄 광산공업그룹과 동북본사 등 두 개의 주요 석탄 생산업체가 있으며, 그 생산량은 전체 생산량의 95%를 차지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국내 석탄 소비량은 2011년 2780만 t에서 2015년 3877만 t(96.8%), 2021년 약 5352만 t(96.7%)으로 급증했다.
현재 석탄 소비량은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주로 전기를 생산하는 데 쓰인다.
석탄을 포함한 일회성 에너지 수요는 계속 증가해 2030~2035년 정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이 부처는 밝혔다.
베트남의 석탄 수요는 2025년 9400만~9700만t, 2030년 1억2500만~1억2700만t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주로 발전·시멘트·야금·화학공업의 수요 증가 때문이다.
2045년에는 석탄 수요가 7300만~7600만t으로 줄어든다.
또 감축 목표를 달성한 에너지 전환 과정으로 2040년 이후에는 에너지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석탄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질소비료와 화학공업 등 비에너지용 석탄의 개발을 장려한다.따라서 상품용 석탄, 특히 질 좋은 석탄의 수입을 늘려야 한다.
생산 중인 석탄 수요를 맞추기 위해 2025~2035년 단계에서 베트남 석탄 수입량은 약 5000만~8300만t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45년에는 3200만~3500만t으로 점차 낮아진다.
전략 초안에서 2030년까지 약 85-90% 또는 3900만4200만 t의 상업용 석탄을 전력 생산에 우선 투입해 국가 에너지 안전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석탄 수요 증가에 따라 베트남 석탄 수입량도 2030년 약 8000만 t으로 최고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 [기고] 정치판 돌아가는 요지경
- 대한아이스하키협회, "2022 LG 코리아 아이스하키리그" 개최
- [중국망] 주식 이슈 종목 (2022년 8월 22일)
- [중국망] 중국 세계직업기술교육발전회의, 국제 교류 위한 플랫폼 제공해
- 케냐, 가뭄 악화로 인하여 식량 위기 고조
- [기고] 남원 시민들의 분노의 외침
- 러시아, 달러화 담보사용 금지
- 한국해비타트, 가수 션과 광복절 기부 마라톤 진행
- 동남아 경제, 바닥 치고 '반등'
- 베트남과 러시아, 액화천연가스-원자력 합작 추진
- 러시아, 베트남 원전 개발 돕겠다고 발표
- 동남아시아의 석탄 및 액화 가스 대폭 확장... 그린 에너지 전환 위협
- 동남아 데이터센터 투자 열풍
- 베트남, 몽골산 육류 및 육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 높은 관심 보여
- 동남아, 기후온난화 주범에서 재생에너지 핵심 산업 기지로
- 고온 덮친 아시아, 러시아 에너지 수입 자극시켜
- [월드e] 베트남, JETP 체결... 에너지 전환의 중요한 첫 걸음
- 청송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재인증 도전
- [월드e] 베트남, 전력 용량... 아세안 1위
- 베트남 비료 가격 급등... 원자재 가격 과 글로벌 공급망 혼란 원인
- [월드e] ‘글로벌 기업의 생산거점’ 베트남, 전력공급원 ‘다변화’ 추세
- 500억 달러 물거품 되나…中 해외 석탄발전소 신규 건설 중단 선언
- 아시아개발은행, 석탄 화력 발전소 조기 폐쇄 사업 제안
- 한전, 베트남 석탄발전소 추진 결정에 환경단체 “그린뉴딜이라며...”
- 두산중공업, 물과 불과 바람의 승부
- 문재인 대통령 AIIB총회 축사..."인프라 투자는 '포용적 성장'으로 이어져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