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여러 차례 경고, 결국 이번엔 취소

베트남 국제 협력 및 커뮤니케이션 부서 책임자인 응 광 히우(Nguyen Quang Hie)는 기자 회견에서 아직은 두리안 수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앞으로 심각한 경고가 될 수 있다라며 토양, 물 또는 인근 공장의 배출물등 카드뮴의 출처를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베트남 부서는 생산자들에게 투입물과 농업 관행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배송 전에 카드뮴 수준을 철저히 확인하라고 권고했다.
중국은 이미 2023년 5월과 6월에 6개 선적에 대해 경고를 했고, 두 번째는 2023년 11월, 2024년 1월 사이 23개 선적에 카드뮴 오염 경고를 한 바 있다.
카드뮴(Cadmium)은 화학 원소 중금속으로, 인간에게 유독할 수 있는 물질입이다.
일상생활에서 카드뮴 중독의 주요 사례 중 하나는 담배 흡연이다. 담배 연기에는 카드뮴이 함유되어 있으며, 장기적인 담배 흡연은 카드뮴 노출을 증가시키고 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카드뮴 중독은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1. 신장 손상: 카드뮴은 신장에 특히 유독하며, 장기적인 노출은 신장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2. 뼈 손상: 카드뮴은 뼈조직에 쌓여서 골다공증과 같은 뼈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3. 암 발생: 장기간에 걸쳐 카드뮴에 노출되면 암 발생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폐암과 관련이 있다.
4. 호흡기 문제: 카드뮴 노출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권장된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폐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다.
관련기사
- 팔레스타인, 유엔 정회원국 복귀 절차 재개
- 일본 정부, 칩 제조업체에 고액 보조금
- 멕시코, 중남미 경제 선두주자로 부상... 미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
- 남이섬, 홀리 하이와 함께하는 화려한 봄맞이 축제 개최
- [월드e] 라그바수렌 몽골은행 총재, 무역 활성화를 위해 스왑 확대 촉구
- [월드e] 몽골-중국 가슌수카이트-간츠모드 국경간 철도 연결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
- 경동나비엔, ‘나비엔 친환경 지원금’ 캠페인 진행…”콘덴싱보일러로 지구를 지키세요”
- 4월 중국발 미국향 컨테이너 운송량 증가율 2%에 그쳐
- 말레이시아, 태국 제치고 아시안 제2의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
- 베트남의 대미 수출 급증... 중·베·미 "무역 공생 관계" 형성
- 필리핀, 낙태 혐의는 불법... 외국인 5명 체포
- 베트남, 라오스에서 두 번째로 큰 고객 시장
- STARS그룹, 인도-코리아뮤직페스티벌(IKMF)후원..."인도시장 진출 본격화"
- [비전 인사이트] 한국 경제도 축구도 '뒷걸음질', 모두 정신차려야!
-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사전등록 1500만 돌파… 출시 D-1 흥행 기대감 ‘고조’
- 아시아발 미국 향해 해운 컨테이너 '7연속 증가'
- 올해 1분기 태국의 쌀 수출, 증가세 보여
- 베트남 올해 3개월 동안 3만5900명 이상의 근로자가 해외로 파견
- 미국, 4개월 연속 베트남 최대 수출시장
- 캄보디아, 프놈펜과 바다를 연결하는 180km 대운하 건설
- 베트남, 농산물 위해 한국 시장 개척
- 필리핀 이민국, 바람직하지 않은 외국인 유입 차단
- 올해 1분기까지 중국-유럽 화물열차 8.7만 회 운행
- 세계은행, "베트남 경기 회복 중"
- 태국, 국가 인공지능 전략 가속화
- 필리핀 이민국, 외국인 400여명 입국 금지 조치
- 베트남, 1분기 외국인 관광객 목표 25% 달성
- 2023년 인터넷 사기로 베트남 1인당 96만 원 피해
조성영
chosy@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