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홈페이지는 미국 데카르트 다타민(datamin)사의 발표에 따르면 "3월 아시아발 미국발 해상 컨테이너 수송량은 14만5586개(20피트 컨테이너 기준)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해 7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전했다.
상위 10개 제품의 운송량은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을 초과했다.
철강 제품은 43%, 플라스틱은 41% 증가했다. 소비재별로는 운송량이 가장 많은 가구류가 29%, 완구·운동기구가 17% 늘었다. 코로나19로 누적된 재고의 조정 종료와 미국 개인 소비의 견조함이 반영된 결과다.
출하 지역별로는 운송량 비중이 50%를 넘는 중국 본토의 출하량이 18% 증가했다. 2위인 한국 출하량은 35%, 3위인 베트남 출하량은 25% 늘어나는 등 수송량이 많은 지역의 성장이 두드러졌다.일본 배송은 9% 증가했고 대만 배송은 1% 감소했다.
화물 운송량은 견조했지만 현재 운임은 2월 이전 급등에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상하이발 미국 서해안발 컨테이너 운임은 4월 26일 4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당 3602달러로 2월 초순 고점(5005달러)보다 28% 떨어졌다.
컨테이너선 운임은 파나마 운하의 물 부족과 수에즈 운하 주변의 상선 공격 심화로 2023년 말부터 2024년 2월까지 크게 올랐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올해 1분기 태국의 쌀 수출, 증가세 보여
- 동남아 스타트업 금융액 5년여 만에 최저... 회복 기미 없어
- OECD,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 상향 조정
- [기고] 기고문 "가황歌皇 나훈아가 진정한 테스형이다"
- 2024년 러시아의 GDP, 2.8% 성장 전망
- [월드e] 몽골, 유럽 시장으로 수출 증가
- 베트남, 몽골산 육류 및 육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 높은 관심 보여
- WMO, “아시아, 지난해 기상재해 가장 큰 영향”
- ㈜와이앤리더스, 베트남 ABEY’S그룹&KM그룹과 인력 송출입 맞손
- 중국, 카드뮴 오염 혐의로 베트남 두리안 30개 컨테이너 반송
- 베트남 철강재 수입량 1.5배 늘어... 특히 중국산 수입 급증 추세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