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선택화면은 간소화
필요한 용도만 누르면 즉시 발급

지난 1월 27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무인민원발급기의 간편 서비스 개발을 완료하고 이를 전국 4,200여개의 민원발급기계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선택항목이 너무 많아 혼란을 주던 주민등록초본 발급서비스를 간편화하고 법원‧은행‧공공기관 등 제출기관만 선택하면 자동으로 나머지 선택항목이 완성되는 기능을 개발했다.
기존 화면은 발급 화면에서 과거의 주소변동 사항, 주민등록번호뒷자리, 세대주와의 관계 등 9개 항목 23개, 초본 발급 화면에는 8개 항목에 18개 선택표시창에 ‘포함/미포함’ 여부를 개별 선택해야 하는 등 복잡함이 있었다.
새로운 무인민원발급기용 주민등록 등초본서비스는 복잡한 선택화면이 사라지고 대신 제출기관(발급용도)만 선택하도록 화면을 구성했다.
등본의 경우 법원, 교육기관, 공공기관, 부동산계약, 금융‧병원의 5개 기관 가운데 등본을 제출해야 하는 기관만 선택하면 나머지 선택사항은 자동으로 입력이 되는 구조다. 초본 역시 법원(등기소), 교육기관, 공공기관, 금융기관, 개인 확인 등 5개 용도를 제시해 필요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개별적으로 항목 선택을 원하는 이용자는 기존처럼 발급이 가능하다.
주민등록표등(초)본은 지난해 무인민원발급기에서만 1,600여 만건이 발급될 만큼 많은 국민들이 이용하는 서비스다.
문제는 법정서식을 그대로 주민등록표 등(초)본 발급 신청화면에 옮겨놓으면서 신청과정이 복잡했다는 것이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선택항목이 많아 어떤 것을 선택하고 어떤 것을 선택하지 말아야 할지 알기 어렵고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
이재영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이번 민원서비스 개선으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등·초본을 발급받을 수 있게 되는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행정편의성이 향상됐다”며 “국민 불편사항 개선노력은 정부혁신의 출발점이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는 “앞으로도 점점 높아지는 민원서비스의 질 향상에 대한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무인민원발급기 사용자의 시각에 맞춰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필리핀·한국 외교부 다양한 협력 강화 합의
- [신간소개] '오십에 읽는 사기'
- [기고] 도 넘은 불법 정치 현수막 "왕 짜증"
- 행정안전부, “취약계층의 난방비 지원금은 ‘보조금24’에서 지원받으세요”
- 정부당국 ‘전국민 AI 일상화’위해 7,100억 투입
- 한글과컴퓨터, 자체개발 OS ‘한컴구름’ 이용자 확보 나서
- 안동시청의 ‘SNS 브랜드 마케팅’이 인기라고?
- 재정분야 3관왕 수상한 ‘대구시’ 특별교부세 20억 원 받아
- [기고] 행안부 2022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 강원도, 지방소멸대응기금 2년간 2,465억원 확보
- 행안부, 아이폰용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출시
- [기고] "공무원들과 공기업 직원들 민원부서의 고충"에 대해
- 김해시, 2022 상반기 3개 사업 추진할 특별교부세 18억 원 확보
- 강원도형 DID 서비스 ‘나야나’ 정식 출시
- [이슈 체크] 中 결혼·출산 건수 '급감'
- 우리은행, ‘모바일 운전면허증’ 실명확인 서비스 제공
- GS25, ‘모바일 운전면허증’ 인증 시스템 적용해 고객 신원 확인
- [스타트업K] 부르면 오는 '통학버스', 비결은 수요예측 모빌리티 기술
- '2021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 발표...6억 이하 1주택자 "세 부담 감소"
- 정의선·최태원 수소사업 손잡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