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베트남 주요 도시에서 거행 예정
2023년 실제 오디션 참가자만도 전국기준 4400명으로 집계

베트남 'KPOP I LOVE 2023' 행사가 하노이 외교대학교(69Chua Lang)에서 8월 26일 8시반부터 오후 6시까지 거행되었다.
동 행사는 한국콘텐츠진흥원·한국관광공사·주베트남 한국문화원 주관으로 성황리에 거행되면서 전국을 순회하면서 진행될 예정이다.

금번 행사 특징은 베트남 내 KPOP에 관심이 높은 MZ세대 대상으로 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주최하여 합격자에 한해 연말 하노이·호치민·다낭 등 주요 도시권에서 콘서트를 향후 개최 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이번 행사는 과거 KPOP 행사와 비교시 진행상 색다른 차별점이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단순한 일회성 단발성격의 행사를 벗어나 연중 장기간 동안 진행하여 KPOP 인기몰이를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한국의 주요 공기관 등이 공동 참여하여 주최하는 정부 주도 기관행사로 타 KPOP 관련 오디션과 차별되면서 행사 전부터 신뢰도 높은 이벤트 행사로 베트남 젊은 세대들의 관심이 높았다는점이다.
동 행사 심사위원으로 초대된 베트남 국립 오케스트라 부단장이자 베트남 탕롱대학교 음대 Hien Nguyen Soprano 히옌 응우엔 겸임교수(유명 소프라노 성악가)는 "이번 KPOP 행사는 현재까지 3회차 진행을 통하여 대중 신뢰도를 높였으며, 대상자 선별을 위한 오디션을 베트남 전국주요 지역에서 진행하는 차별점이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베트남 언론 및 매체의 관심도가 높아 2023년 행사는 지난 년도에 비해서 지원자가 약 2400%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지원자 약 5000명 인데 반해 2023년 지원자 12만 명으로, 2023년 실제 오디션 참가자만도 전국기준 4400명으로 집계 되었다.
베트남 현지 에서 한국 KPOP 인기가 최근 얼마나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지 단적으로 알수 있는 대목이다.
한국 콘텐츠진흥원 및 참여기관은 '2023 KPOP I LOVE' 행사를 지속지원 및 시행 할 계획으로 규모확장에 발맞추어 내년도 예산편성을 증편 할 예정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베트남 매체사 및 학교기관 및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도모하여 행사의 질을 더 한층 높히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동 행사 베트남 홍보대행사인 플라이커뮤니케이션 회사는 2022년 행사부터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대행사 업무를 병행하고 있는데 "점차 KPOP의 베트남 시장규모 확대와 함께 관심이 높아지는 있다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른 부가적인 파생 비즈니스 시장도 당분간은 성장추세 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 팀 쿡 애플 CEO 12년째... 3년 더 맡을 예정
- 최기일 상지대 교수, 대통령 직속 민주평통 자문위원 위촉
- 러시아 '댄스신동' 소피아, 한국계 최초로 러 스포츠대학 댄스학과 '수석 합격'
- 영국 중앙은행 고위관리, "높은 금리를 유지할 것"
- [월드e] 베트남 관광객, 한국서 "가장 큰손" 되다
- 베트남과 한국, '신형 공업 분야' 협력을 강화
- 베트남 선라성 용과, 세계 시장 정복
- 인도 쌀 수출 통제... 아시아 쌀값 급등 15년 만에 최고
- 베트남인 교포, 베트남과 세계 연결
- 윤석열 대통령과 각국 지도부, 베트남과 협력 전망에 ‘긍정’
- 베트남 ASEAN의 성장 촉진 위해 이니셔티브 제안 예정
- 주한 베트남관광청 대표부와 노바랜드 중-장기적인문화,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체결
- 사이버한국외대 ‘KF 글로벌 e-스쿨’ 한국어 교육 사업, 베트남 휴텍대·인도 네루대 등 신규 참여
- 베트남, 중국의 '9단선' 지도 공개에 항의
-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 (IUU) 방지를 위한 꽝닌성 어선 관리 디지털화 사업
- 하노이 가을 관광 상품 개발
- 캄보디아 총리, 미국과의 관계에 대해 논평
- 베트남- 태국 협력 증진
- ECO-HOUSE, 농민의 녹색 농업을 지원하는 베트남 대학생 사업
- Make in Vietnam 2023 상품 주인 찾아
- 21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위촉
- 멕시코, 2022년 세계 최대 제조업-수출국 7위 등극
- 8개월 만에 베트남 외국인 투자 181억 달러 육박
- 동남아 젊은이들 알뜰폰 선호... 응답자의 4분의 3 이상이 '중저가' 휴대폰 선호
- 중국과 태국 시장을 어떻게 '공략'할 것인가?
- 베트남, 25년이래 가장 빠른 성장률... 향후 성장세 둔화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