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 5년차 제도 특허심판 국선대리인
중소기업 권리 지킴이 역할 수행
승소율 51.3%

지난 3월 3일 특허청 특허심판원은 사회・경제적 약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운영 중인 ‘특허심판 국선대리인’ 누적 선임건수가 2024년 기준 161건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 밝혔다.
특허심판원은 대리인이 없는 심판 당사자(사회・경제적 약자)에게 국선대리인(변리사)을 선임해주는 특허심판 국선대리인 제도를 2019년 7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연도별 선임 현황은 2019년 11건으로 시작해 2024년 34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국선대리인 제도 이용자는 개인(국민기초생활급여 수급자,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보다는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선임건수가 대다수(143건, 88.8%)를 차지하고 있다.
권리별로는 상표분야의 비중(100건, 62.1%)이 가장 높고, 특허·실용신안(32건, 19.9%), 디자인(29건, 18.0%) 순으로 나타났다.
심판종류별로는 권리범위확인심판(67건, 41.6%)과 무효심판(46건, 28.6%), 상표취소심판(41건, 25.5%)에서 많이 활용되고, 거절결정불복심판(6건, 3.7%)에서의 활용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즉, 권리의 대항을 받는 중소기업이 방어를 목적으로 국선대리인 제도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4년까지 종결된 120건의 국선대리인 선임사건 승소율은 51.3%(취하건, 국선대리인 해임/사임 건 제외)로 같은 기간 대리인 없는 당사자(상대측은 대리인이 존재)의 승소율(피청구인측 승소율 22.8%, 청구인측 승소율42.3%)보다 높은 편이다.
또한 사건 종료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도 높은 만족도(84.4점)를 보였다.
서을수 특허심판원장은 “도입 5년차에 들어선 특허심판 국선대리인 제도가 사회·경제적 약자, 특히 지재권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앞으로도 국선대리인의 도움이 필요한 분들의 적극적인 이용을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로봇 장인 클로봇, 특허왕으로 우뚝
- 뉴스마켓, 콘텐츠 제작자 ‘마켓크루’ 모집
- 인피닛블록, ‘2023년 핀테크 해외진출 지원사업’ 선정
- "코카콜라"가 세상에 등장한 배경
- 중국의 유럽 특허 출원량, 독일을 따라잡고 있다
- 제 20회 벤처인사이트포럼, 대구에서 성황리 개최 ‘트렌드 사이클을 이해하라’
- 광주에서 열린 제 17회 벤처인사이트포럼, ‘지역 교류의 장 활짝’
- 벤처협회의 인사이트포럼 10월 6일 개최‘대구에서 만나요’
- [비전ON] 특허청, 시니어 기술창업‘에 최대 4,000만 원 지원
- 특허청, 3월부터 특별사법경찰 통해 특허‧디자인‧영업비밀로 수사 확대
- 특허청, 지재권 허위 표시한 온라인 판매 화장품 672건 적발
- ‘특허 분리 출원 제도’ 도입으로 지식재산권 획득 기회 확대
- 특허청-한국가스공사, 수소 공급망 핵심기술 연구개발 협약
- 중국, 유럽 특허출원 최고 기록...작년 대비 24% 증가한 1만6665건
- 뉴욕증권거래소, NFT 거래 관련 상표 출원
- [이의찬의 금융스토리] 대웅제약의 보톡스 논란
- 日 특허 사용료, 29년 만에 인상
- 이철이 대표, 발명 아이디어 경진대회 심사위원 위촉
- '카카오 AI', 산업은행이 1000억원...기업가치 1조 이상
- 인스타그램 '팔이피플', 이젠 일가족이 짝퉁판매까지?
- 문 대통령, 특허증 직접 서명 ..."국민 1인당 특허수 세계 1위, 세계 4위 특허강국"
- 한국인 첫 1호 특허권자이자 애국지사 후손 찾아
- 한국 정부, 가상화폐 고강도 규제 발표 VS 미국 특허청, BOA 가상화폐 플랫폼 특허 승인
- LG디스플레이, 중국특허청에서 기술설명회 개최
- 중기중앙회-특허청, 16일 '해외 진출 중소기업 지식재산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 '2015 창조경제박람회' 26일부터 개최... 특허청 행사와 통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