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18개국 지역발 미국향 북미 수출항로의 운송량은 8개월 연속 감소세

아시아 16개국 지역발 유럽 53개국 지역향(유럽 수출항로) 컨테이너 운송량이 지난 3월, 14개월 만에 증가로 돌아선 반면 유럽발 아시아향은 감소세가 지속되었다고 최신호 유로저널이 보도했다.
아시아 지역에서 유럽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한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아시아 18개국 지역발 미국향 북미 수출항로의 4월 컨테이너 운송량(추정치)은 전년 동월비 18% 감소한 154만4천 TEU(20ft, 표준 컨테이너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8개월 연속 전년을 밑돌았다.
일본해사센터 CTS 통계 자료를 인용한 SKN 쉬핑뉴스에 따르면 아시아 16개국 지역발 유럽 53개국 지역향(유럽 수출항로) 컨테이너 운송량은 3월의 경우 전년 동월비 8% 증가한 144만3천 TEU로 14개월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최대 점유율을 차지하는 중화지역 선적이 12% 증가한 107만9천 TEU를 기록했고,동북아시아도 8% 증가한 16만5천 TEU였다. 다만 동남아시아는 8% 감소한 19만8천 TEU로 계속 마이너스였다.
유럽향은 EU 27개국의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중량을 보면 2월은 비료가 8.6배로 급증하는 등 회복세에 있고, 점유율 1위인 전기기기‧AV기기 등이 24% 증가, 무기화학품 및 귀금속‧희토류 금속이 46% 증가, 자동차부품 등이 10% 증가했다.
반면, 3월 유럽발 아시아향(유럽 수입항로) 컨테이너 운송량은 11% 감소한 56만9천 TEU로 21개월 연속 감소했다. 중화지역향이 14% 감소한 28만 TEU였던 것인 영향을 미친 데다가 동북아시아가 17% 감소한 12만4천 TEU를 기록했다. 동남아시아향은 1% 증가한 15만4천 TEU였다.
한편, 아시아 18개국 지역발 미국향 북미 수출항로의 4월 컨테이너 운송량(추정치)은 전년 동월비 18% 감소한 154만4천 TEU로 8개월 연속 전년을 밑돌았다. 소비재를 중심으로 상위 품목의 대폭 감소가 계속됐다.
전월보다 마이너스 폭은 축소됐지만 미국의 과잉재고가 해소되지 않아 물동량 동향은 예측을 불허한다고 일본해사신문이 전했다.
국가, 지역 별 실적은 대부분이 전년을 밑돌았다. 최대 점유율을 차지하는 중국 선적은 17% 감소한 85만9천 TEU.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23% 감소한 35만3천 TEU로, 베트남은 26% 감소한 16만7천 TEU, 태국은 10% 감소한 7만7천 TEU였다. 인도 등 남아시아는 25% 감소한 10만3천 TEU였다.
이에 대해 한국은 제자리걸음인 10만9천 TEU였고, 일본 선적은 2% 증가한 5만7천 TEU였다.
관련기사
- 페로브스카이트 배터리, 에너지 게임 규칙 변경
- 비야디, 이스라엘 신에너지 전기차 시장 선점... 7개월 연속 판매 1위
- 독일 국방장관, 인도 방문해 양국 군사협력 강화 모색
- 유럽 천연가스 가격, 최근 2년내 최저 가격 기록
- 미국에서 채굴‧제련한 희토류, 일본 수출행…‘중국 패싱 본격화’
- 한국자동차부품협회, ‘스마트유통 마켓솔루션’ 런칭 행사 개최
- 인도네시아-프랑스, 경제·방위 협력 강화… G20 정상회의서 양국 관계 격상
- 유럽 증시, 4주 연속 하락세 기록하며 하락세 마감, 바이에른 노르딕 17% 하락
- 유럽 천연가스 가격 급등, 아시아 시장에도 영향 우려
- [비전 인사이트] 미중 갈등 격화, 보호무역주의 강화 예상되는 '트럼프 리스크', 선제적 대응 절실
- 폭스콘 산하 순신베트남, 베이장성에 전자부품 생산공장 설립…연 450만 개 생산 목표
- 폭스바겐, 독일 내 공장 폐쇄 및 대규모 인력 감축 고려…구조조정 압박 속 노사 갈등 고조
- 베트남 참치 수출, 올해 18% 증가…이스라엘, 미국, EU 시장서 두각
- 베트남 커피 수출, 2023/2024년 사상 최대 54억 3천만 달러 돌파
- IMF, 세계 경제성장률 "올해와 내년 모두 3.2%" 전망
- 세계무역기구, "세계 상품 무역이 온건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
- ILO 보고서 "인공지능, 소득 불평등 심화시킬 수 있다"
- 조류독감으로 전 세계 계란값 폭등
- 필리핀 보건부, XEC라는 이름의 새로운 변종 COVID-19 발견
- 반도체 대기업, 중동에 '슈퍼팩토리' 설립 추진
- 인도, 쌀 보호무역주의 확산 우려
- 유럽 탈공업화, 장기적인 불황을 초래할 것
- 전 세계, 특히 중국이 아프리카를 구애하는 이유?
- 세븐일레븐 모기업, 부엉이식품 인수제안 거부
- IMF, 2024년과 2025년에도 3.2% 성장 예측
- 인공지능, 아프리카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