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이미 경제 제2대국…ADB, 저소득 국가 지원에 집중 예정
중국, ADB와 겹치는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AIIB)을 강화 예상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는 일본경제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은행이 2023년에 중국에 대한 신규 대출 종료를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대국인 중국은 소득 수준이 상승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아시아에 대한 대출을 주도하고 있으며, 지원을받을 수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견해가 있다.
중국이 더 이상 차용자가 아니며, ADB는 저소득 국가를 지원하는 데 집중할 가능성이 더 커질 것이다.
아사카와 아시아개발은행 총재는 "내년부터 (중국이) ADB를 졸업할 수 있는 상황에 처해 있는지 논의하고 싶다"고 말했다.
2021~25년 동안 중국의 총 대출 계획은 70억 ~ 7.5억 달러 (약 945 억 엔 ~ 약 1 조 엔)이며, 이는 2016~2020년의 9억 달러보다 적다.
일본정부는 2023년부터 25년 말에 대출 중단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총재는 "우리가 중국의 졸업에 대해 논의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라고 설명했다.
ADB는 1인당 국민 소득 (GNI)이 7455달러 (989만 2785 원) 이하인 국가, 국제 자본 시장에서 기금 모금의 어려움, 사회 보장과 같은 개발 수준에 대한 일정한 지표를 가진 국가로 대출을 축소한다.
중국은 이미 GNI와 기금 모금의 한계를 벗어났다. 개발 수준의 지표가 호환되는지 확인한다.
아사카와 총재는 "상하이와 내륙 지역마다 사회 보장 상황이 다르기에, 정확히 논의하고 싶다"고 말했다.
2021년 말 중국의 미지급 대출은 19억 6천만 달러(약 2조 6009억 2000만 원)로 인도에 이어 두 번째로 순위가 매겨졌다. 그것은 전체의 14%를 차지한다.
2021년 신규 대출은 인도와 파키스탄과 같은 국가들이 1억8000만 달러(2388억 6000만 원)로 다섯 번째로 큰 규모였다.
아시아를 중심으로 68개 회원국과 지역을 보유한 ADB는 일본과 미국에서 15.6%의 가장 큰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은 6.4%로 세 번째로 큰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ADB와 겹치는 아시아 인프라투자은행(AIIB)을 이끌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과 싱가포르는 ADB의 대출에서 제외되었다. ADB 회원국은 기부금에 따라 투표할 권리가 있으며 지원 수혜자 선정에 관여한다.
관련기사
- [비전ON] 일본 세무서, 젊은이들의 음주 독려... 대중 비난 받아
- [Inside] 골드만삭스 노무라, 올해 중국 GDP 전망치 다시 낮춰
- [중국망] 주식 이슈 종목 (2022년 8월 19일)
- [월드e] 美 연준,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원·달러 환율 급상승
- [비전ON] 필리핀, 코로나 여파로 작년 빈곤 인구 증가... 3년 전보다 230만 명 증가
- 인도네시아 대통령, "쌀 수출은 우선 내수 충족후에 고려"
- [컬쳐e] 카타르 '974 스타디움', 월드컵 사상 첫 이동식 경기장
- 세계은행, 파키스탄 GDP 성장률 전망치 2%로 하향 조정
- 파키스탄, IMF 재무장관 보내 구제금융 재개 요청
- 인도-방글라데시, 무역 및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CEO 포럼 개최
- 파키스탄, 사상 첫 국가안보 관련 정책 승인 예정
- 파키스탄, 금리 20%로 공격적 인상… IMF 조건 충족 위한 조치
- 아시아개발은행,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 전망 하향 조정
- 아시아개발은행, EU 탄소세는 "아시아 경제에 충격을 줄 것"
- 아시아개발은행, 2022년 필리핀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 3분기 소비자 지출 회복
- 작년 ADB 지원 수혜국 중 최상위 국은 인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