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이미 경제 제2대국…ADB, 저소득 국가 지원에 집중 예정
중국, ADB와 겹치는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AIIB)을 강화 예상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는 일본경제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은행이 2023년에 중국에 대한 신규 대출 종료를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대국인 중국은 소득 수준이 상승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아시아에 대한 대출을 주도하고 있으며, 지원을받을 수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견해가 있다. 

중국이 더 이상 차용자가 아니며, ADB는 저소득 국가를 지원하는 데 집중할 가능성이 더 커질 것이다.

아사카와 아시아개발은행 총재는 "내년부터 (중국이) ADB를 졸업할 수 있는 상황에 처해 있는지 논의하고 싶다"고 말했다.

2021~25년 동안 중국의 총 대출 계획은 70억 ~ 7.5억 달러 (약 945 억 엔 ~ 약 1 조 엔)이며, 이는 2016~2020년의 9억 달러보다 적다. 

일본정부는 2023년부터 25년 말에 대출 중단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총재는 "우리가 중국의 졸업에 대해 논의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라고 설명했다.

ADB는 1인당 국민 소득 (GNI)이 7455달러 (989만 2785 원) 이하인 국가, 국제 자본 시장에서 기금 모금의 어려움, 사회 보장과 같은 개발 수준에 대한 일정한 지표를 가진 국가로 대출을 축소한다.

중국은 이미 GNI와 기금 모금의 한계를 벗어났다. 개발 수준의 지표가 호환되는지 확인한다. 

아사카와 총재는 "상하이와 내륙 지역마다 사회 보장 상황이 다르기에, 정확히 논의하고 싶다"고 말했다.

2021년 말 중국의 미지급 대출은 19억 6천만 달러(약 2조 6009억 2000만 원)로 인도에 이어 두 번째로 순위가 매겨졌다. 그것은 전체의 14%를 차지한다. 

2021년 신규 대출은 인도와 파키스탄과 같은 국가들이 1억8000만 달러(2388억 6000만 원)로 다섯 번째로 큰 규모였다.

아시아를 중심으로 68개 회원국과 지역을 보유한 ADB는 일본과 미국에서 15.6%의 가장 큰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은 6.4%로 세 번째로 큰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ADB와 겹치는 아시아 인프라투자은행(AIIB)을 이끌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과 싱가포르는 ADB의 대출에서 제외되었다. ADB 회원국은 기부금에 따라 투표할 권리가 있으며 지원 수혜자 선정에 관여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