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중국 태도를 대미 패권 경쟁 및 러시아 에너지 도입 관련 조치로 평가
美, 유럽연합, 나토 등 러시아 강력히 규탄하는 동시 경제 제재 발표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으로 세계가 3차대전을 우려하는 가운데 미국 및 나토 등이 러시아를 강력하게 규탄하며 경제 제재를 선언한 반면 중국은 오히려 러시아를 두둔하며 확전 자제와 평화적 해결을 주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24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SCMP)에 따르면 중국은 24일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을 막기 위한 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작전을 승인함에 따라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외교적 해법을 주장했다
장쥔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우크라이나 상황은 중요한 순간에 있으며 중국은 그것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라며 “관련 당사자들은 자제력 발휘해 긴장의 추가 확대를 피해야 한다. 우리는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의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았고 닫혀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장 대사는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러시아를 직접 언급하지 않은 채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독립 승인이나 푸틴의 군대 파견 결정을 인정하지도 비난하지도 않았다.
뉴욕 외교가에 따르면 장 대사는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바실리 네벤자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와 긴밀히 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작전은 '침공'이 아니라고 강변하면서 오히려 미국과 서방이 상황을 악화시켰다는 취지로 언급한 후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군사 지원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또 환구시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화 대변인은 “서방 언론이 러시아 침공이라고 표현하는데 동의할 수 없다”면서 "우리는 우크라이나 정세가 오늘 지경까지 비화하는 걸 보고 싶지 않았다"라며 각국에 “자제심을 유지해 사태에 대한 통제력을 잃지 않도록 하라”고 촉구했다.
러시아 침공에 세계가 모두 규탄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이러한 대러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지정학적 국제정치 구도상 중국이 G2로서 미국에 강력 대응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와의 연대가 필요하고, 둘째 경제적 측면에서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 도입 문제에서 러시아와 긴밀한 협조가 필요해 러시아를 두둔하고 옹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 [월드e] 中과 테슬라의 발전, 중국의 독자적 모델 출시 예정
- 러시아, 미국 등 서방의 제재 속에도 '나름 선전'
- 미국ㆍ유럽 상반된 경기추세... 미국 경기 둔화, 유럽 반등
- 지난해 개인용PC 출하 16%↓... '재택 특수' 사라져
- 글로벌 가계경제 낙관론 붕괴… 비관론 급부상
- 도요타, 3년 연속 전 세계 판매 1위... 부품사와 반도체 업체와 협력 탓
- 세계은행, "2023년 세계경제 성장, 1.7% 하향 조정" 전망
- 브라질 대두 수확 풍년… 무역 기록 경신 기대
- 中 위안화 결제 갈수록 러시아 기업의 환영 받아
- CEBR, 내년 세계경제 침체 우려... 금리 인상 고수 영향
- [월드e] 신흥시장 외국인 대거 환류, 중-인도 선방…유럽 전망 어둡다
- 아시아개발은행, "올해 베트남 경제성장률 6.3% 하향 조정"
- EU, 보스니아에 후보국 지위 부여... 우크라이나 전쟁 후 급진전
- 사우디 에너지 장관, "러시아 석유가격 상한조치 효과 불투명"
- 베트남, 첫 국제 국방전람회 개최... 무기 구매 루트 다양화 계기
- 독일 매체, "2023년 황금은 다시 빛날 것" 전망
- 러시아, 석유 가격 상한선 합의... 우크라이나 "30불" 주장
- 中 우주로 향하는 '실크로드' 건설... 미·중 패권다툼 치열
- 중국, 호주의 밀 수입 대폭 확대... 정치적 긴장 약화 추세
- 공화당이 자치한 미 하원… 중국 견제 강화 및 우크라 원조 재검토 시사
- [월드e] 베트남 ,국제선 회복 가속화... 2023년 2분기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 전망
